총량 : 1 바이알(5 밀리리터) 중
압식시맙, 분량 : 1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DG44, 벡터 : pdCMV-dhfrC-301)
실패한 PTCA 환자들의 경우, 이 상태에서 이 약의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이 약의 계속적인 주입은 중지되어야 한다. 압박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심한 출혈이 있는 경우에, 이 약과 헤파린의 투여를 즉시 중지해야 한다. (PRECAUTION을 참조하시오 : 혈소판 기능의 회복) 성인 : 이 약의 권장량은 PTCA 시술 시작 60 ~ 10 분 전에 0.25 mg/kg 용량의 일시 정맥주입 (BOLUS)후에 12 시간동안 0.125 ㎍/kg/min (최대 10 ㎍/min) 용량의 연속 정맥주입이다.
이 약의 투여가 출혈 빈도 증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장비를 갖추고 경험이 있는 의사가 사용해야 하며 “급성 혈관 혈전증의 고위험환자들”에게만 제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런 환자는 다음과 같은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 약물치료에 불응성인 휴지기 및 재발성 협심증 환자로서 심전도상 허혈성 ST 변화를 보인 환자 - 약물치료에 불응성인 심근경색 발작 7일내의 경색 후 협심증 (Postinfarction angina)환자로서 심전도상 허혈성 ST 변화를 보인 환자 - 직접 중재적 시술시행 (Direct Intervention) - 혈전용해치료에 실패한 경우 또 다른 치료 - 2개의 Type B 병변 특징들 - 1개의 Type C 병변 특징들 - 1개의 Type B 병변 특징을 나타내는 65세 이상의 여성 - 1개의 Type B병변 특징을 나타내는 당뇨병 환자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CC) and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의 분류를 근거로 함. Circulation 1988 : 78 : 486-502 J. Am. Coll. Cardiol 1993 : 22 : 2033-2054
이 약의 투여는 복막후강 출혈, 특발성 위장관, 비뇨생식기 출혈 및 동맥접촉 부위에서의 출혈을 포함한 대량 출혈 합병증의 증가된 빈도와 관련이 있다. 이런 위험은 75kg 이하의 환자에서 훨씬 증가된다. 적절한 진단과 치료장비 및 적격의 의료진이 갖추어 졌을 때 치료와 합병증의 적절한 관리가 가능하다. 1) 출혈의 증가된 위험 (3. 부작용항 참조)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은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다음의 임상증상에는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2) 이 약 또는 뮤린 단백질에 과민증을 나타낸 환자들에게 이 약을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3. 부작용 1) 출 혈 이 약 치료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이다. 고위험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이 약 치료는 대/소 출혈사례와 수혈이 필요한 출혈(표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심근 경색 연구군(Group)에서 TIMI Study Group의 기준에 의해 출혈은 대출혈 또는 소출혈로 구분되었다. 대출혈 사례는 두개골내 출혈 또는 5 g/dL 이상의 헤모글로빈 감소로 정의되었다. 소출혈 사례는 자발적인 또는 의인성의 출혈이 관찰되고 3 g/dL 이상의 헤모글로빈 감소 또는 확인된 출혈부위 없이 적어도 4 g/dL의 헤모글로빈 감소를 동반한 혈액소실이 관찰된 특발성 거대 혈뇨증, 특발성 토혈증을 포함했다. 수혈을 받은 환자에서는 혈액소실의 unit수를 Landefeld et. al.방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출혈 사례 및 수혈 구분 위약투여 (n=696) 환자수 (%) 일시적 주입 (n=695) 환자수 (%) 일시 주입 및 계속 주입 (n=708) 환자수 (%) 대출혈 p-value vs placebo 46(6.6) 77(11.1) 0.003 99(14.0) <0.001 소출혈 p-value vs placebo 68(9.8) 107(15.4) 0.002 120(16.9) <0.001 수혈이 필요한 출혈 p-value vs placebo 52(7.5) 97(14.0) <0.0002 119(16.8) <0.001 대출혈 사례는 일시적 및 계속 주입 약제를 투여 받은 환자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대출혈 사례가 있던 10 명의 환자가 사망하였다. 5 명은 일시적 및 계속 주입 치료군(5 명중 1명은 임의 추출이었으나 이 약을 투여받지 않았다.) 이었고, 3 명은 일시적 투여군 이었으며 2명은 위약 투여군이었다. 사망한 대출혈 환자 중 2 명 (일시적 및 계속 주입 투여군 1 명과 위약 투여군 1 명)은 출혈에 의해 사망했다. 모두 출혈성 발작이 있었다. 대출혈 사례는 위약 투여군 환자 23 명(3.3%), 일시적 주입군 환자 60 명(8.6%), 그리고 일시적 및 계속 주입군 환자 75 명(10.6%)에서 나타난 CABG 수술과 관련이 없었다; 이런 환자들의 출혈부위를 표2 에 나타냈다. 두개골내 출혈의 발생은 세 군 모두에서 비슷했다. 대출혈이 있는 이 약 투여 환자의 약 70%가 서혜부내 동맥 접촉 부위에서 출혈이 있었다. 이 약 투여 환자들은 위장관 비뇨생식, 복막후강 및 다른 부위에서 대출혈의 높은 발생을 나타냈다. 과도한 특발성 주요 장기 출혈이 이 약을 투여 받은 75 kg 또는 이하의 환자에서 주로 나타났다. 비록 자료가 제한적이지만, 이 약 치료는 CABG 수술을 했던 환자에서의 과도한 대출혈과는 관련이 없다. CABG 수술- 관련 대량 혈액 소실의 발생은 3 군 모두 (3 ~ 5 %)에서 비슷했다. 지속된 출혈시간이 나타났던 몇몇 환자들은 수술 전에 출혈 시간을 조정하기 위하여 혈소판을 수혈 받았다. [표 2] 대출혈 사례가 있는 환자에서의 출혈 부위a 구분 위약투여군 일시적 주입 일시적 및 계속 주입 CABG와 관련되지 않은 대출혈이 있는 환자 23 60 75 두개내 2 1 3b 특발성 혈뇨증 1 4 4 기타 비뇨 생식기 2 5 8 특발성 토혈증 0 5 11 기타 위장관 1 11 11 복막후강 2 2 12 대퇴 동맥 접촉 부위 16 43 50 기타 접촉 부위 1 1 4 구강 1 4 4 기타c 1 9 11 단지 Hct/Hgb 감소 3 7 11 2) 혈소판 감소증 고위험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환자들은 위약 투여군 환자들보다 더 혈소판수 감소를 경험했고 혈소판 수혈을 필요로 했다. (표 3) [표 3] 혈소판 감소증과 혈소판 수혈 구분 위약투여 (N=696) 환자수 (%) 일시적주입 (N=695) 환자수(%) 일시적 주입 및 계속 주입(N=708) 환자수(%) 혈소판이 <500,000 Cells/㎕로 감소한 환자 5(0.7) 2(0.3) 11(1.6) 혈소판이 <100,000Cells/㎕로 감소한 환자 24(3.4) 25(3.6) 37(5.2) 혈소판 수혈을 받은 환자 18(2.6) 29(4.2) 39(5.5) 3) 휴먼 안티 키메릭 (인공융합)항체 Development HACA가 이 약 투여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고위험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양성반응이 일시적 주입군 환자의 6.5 % (40/617) 대 위약 투여군 환자의 0 % (0/605)로 나타났다. 위약 투여군과 비교 했을 때 이 약 투여와 관련한 과잉의 과민증 또는 알러지 반응은 없었다. 4) 기타 부작용 표 4는 고위험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출혈과 혈소판 감소증 외의 부작용을 나타내며, 이 부작용들은 위 약 투여군보다 0.5 % 더 높은 범위로 일시적 및 계속 주입군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저혈압은 이 약 치료와 관련 있는 출혈 합병증과 종종 관련이 있었다. [표 4] 고위험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환자들의 부작용 사례 사 례 위약 투여군 (N=681) 환자수(%) 일시적 및 계속 주입(N=678) 환자수(%) 심혈관계 저혈압 서맥 82(12.0) 20(2.9) 143(21.1) 35(5.2) 위장관계 구역 구토 109(16.0) 61(9.0) 125(18.4) 77(11.4) 혈액 및 임파계 빈혈 백혈구증다증 3(0.4) 1(0.1) 8(1.2) 7(1.0) 신경계 지각감퇴 착란 2(0.3) 0(0.0) 7(1.0) 4(0.6) 호흡기계 흉막 삼출액/흉막염 폐렴 2(0.2) 3(0.4) 9(1.3) 7(1.0) 기타 동통 말초 부종 시각 이상 8(2.6) 3(0.4) 1(0.1) 23(3.4) 1(1.6) 3(0.7) 4. 일반적 주의 1) 아스피린과 헤파린의 병용투여 이 약은 아스피린과 헤파린 투여에 부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아스피린] 1일 용량 약 300mg을 경구로 투여한다. [헤파린] 2) 출혈에 대한 주의사항 <대퇴 동맥 접촉 부위> 3) 일반적인 간호에 대한 주의사항 불필요한 동맥 및 정맥관통, 근육주사, 뇨 카테터의 일반적인 사용, 비기관 삽관, 비위장 튜브 및 자동 혈압 CUFFS를 피해야 한다. 정맥 접촉을 할 때 비압축 부위 (예 : 쇄골하 또는 경정맥)는 피해야 한다. 식염수 또는 헤파린 lock을 혈액유도 동안에 고려해야 한다. 혈관 관통 부위를 기록하고 모니터 해야 한다. 드레싱 제거 시 주의를 필요로 한다. 4) 환자 모니터링 기존 응고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이 약 투여 전에 혈소판 수, ACT, 프로트롬빈 시간(PT) 및 APTT를 측정해야 한다.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리트 측정을 이 약 투여 전, 이 약 일시 주입 후 12 시간 및 일시주입 후 24 시간에 실시한다. 12 유도 심전도 (ECG)를 이 약의 일시 주입 전에 실시하고, 환자가 카테터실에서 병동으로 돌아왔을 때, 그리고 이 약 일시주입 후 24 시간에 반복한다. 신체증상 (혈압, 맥박 포함)을 이 약 일시주입 후 처음 4 시간동안 1 시간마다, 그 후 이 약 일시주입 후 6, 12, 18, 24 시간에 관찰한다. 5) 혈소판 기능의 회복 동물시험에서 이 약 투여 후 혈소판 수혈로 혈소판 기능이 회복 되었고 신선한 혈소판 수혈은 사람에서 혈소판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경험적으로 투여되었다. 심한 제어되지 않는 출혈 또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혈시간을 lvy 방법으로 측정해야 한다. 만약 출혈시간이 12 분보다 크면, 혈소판 10 Unit를 투여한다. 이 약은 내인성 혈소판 수용체에서 떨어진 후 연속적으로 수혈된 혈소판에 결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일 수혈이 혈소판 기능이 회복되는 수준인 60 % ~ 70 %로 혈소판 차단 감소에 충분할 수 있다. 혈소판 반복수혈이 출혈시간 12 분 또는 이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6) 혈전 용해제, 항응고제 및 다른 항형소판제 사용 이 약은 혈소판 응고를 억제하므로, 헤파린 등 지혈제, 와파린 등 경구 항응고제, 디피리다몰, 티클로피딘 도는 저분자 덱스트란 등 아스피린 이외의 혈전용해제와 항혈소판제를 병용 투여할 때에 주의해야 한다. 혈전 용해제를 투여 받는 환자에서 이 약의 사용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그러나 이런 자료는 이 약이 전신 섬유소 용해 상태를 만들기에 충분한 용량의 혈전 용해제가 투여되는 환자에게 투여되었을 때 출혈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만약 이약을 투여 받는 환자 (또는 48 시간 전에 이약을 투여 받은 자 )에서 불응성(무반응성)징후에 대해 위급한 조절이 필요하다면, 그 상태를 치료하기 위해 우선 PTCA 시술 시도가 권장된다. 외과 수술 전에, 출혈시간은 lvy 방법으로 결정하고 12 분 또는 그 이하로 한다. PTCA 및 다른 적절한 조치가 실패한다면, 그리고 혈관 그래프가 병인이 혈전에 기인함을 나타낸다면 관내 경로로 적절한 혈전용해제를 투여하는 것에 대한 고려를 해야한다. 전신적 섬유소 용해상태는 피해야 한다. 7) 혈소판 감소증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혈소판 수를 치료 전, 이 약 일시주입 후 2 ~ 4 시간 및 24 시간에 모니터 해야 한다. 만약 환자가 급성 혈소판 감소증을 나타낸다면, 추가적인 혈소판 수를 결정해야 한다. 이 혈소판 계산수를 In Vivo 항응고 작용에 의한 위양혈소판 감소증을 배제하기 위해 Ethylenediamine tetra acetic acid (EDTA), Citrate, Heparin을 함유한 분리관에서 유입한다. 만약 진짜 혈소판 감소증이 입증된다면 이 약 투여를 즉시 중단하고, 상태를 적절히 모니터하고 치료한다. 1 일 혈소판 수는 정상으로 회복될 때까지 보급한다. 만약 환자의 혈소판 수가 60,000 cells/㎕로 떨어지면, 헤파린과 아스피린을 중단한다. 만약 혈소판 수가 50,000 cells/㎕ 이하로 떨어지면 혈소판을 수혈해야 한다. 8) 이 약의 재투여에 대한 자료는 없다. 9) 신장 및 말초혈관 질환: 신장질환 또는 말초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유익성이 감소될 수 있다. 10) 아나필락시스가 투여 동안에 일어날 수 있다. 만약 일어난다면,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지하고 표준화된 적절한 인공호흡 처리를 실시해야 한다. 5. 상호 작용 이 약은 헤파린과 아스피린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되었다. 이 약과 병용 투여시 헤파린이 출혈의 증가와 관련이 있다. 주로 사용되는 다른 심혈관 약물과 이약과의 공식적인 연구가 없었지만. 임상시험에서 협심증, 심근경색 또는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다른 약제와 병용투여 및 일반적인 정맥 주입과 관련한 부작용은 없었다. 약제들은 와파린 ( 단 PTCA 동안 전, 후),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칼슘채널 길항제, ACE 억제제, 그리고 정맥 및 경구 질산염, 아스피린이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약에 대하여 동물 생식독성 시험은 실시되지 않았으며 임신부에 투여되었을 때 이 약이 태자 독성을 일으킬 수 있을지 또는 생식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임부에 대해서는 그 필요성이 확실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신중이 투여해야 한다. 동물 또는 인체의 모유로 이행되는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수유부에 투여 시 수유를 금해야 한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80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8. 소아에 대해 투여 소아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다. 9. 과량 투여시 처치 과량 투여와 관련된 부작용은 없었다. 그러나 급성 알러지 반응 혈소판 감소증 또는 제어되지 않는 출혈시는 이 약의 투여를 즉시 중지해야 한다. 혈소판감소증 또는 제어되지 않는 출혈시는 혈소판 수혈이 권장된다. 10. 적용상의 주의 1) 정맥투여 제품은 투여 전에 미립자에 대해 육안으로 검사해야 한다. 육안으로 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불투명한 입자를 함유한 경우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 이 약 같은 단백질 용액을 투여 시 과민 반응을 예상해야 한다. 에피네프린, 도파민, 테오필린, 항히스타민제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이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알러지 반응이나 아나필락시 증후가 나타나면 주입은 즉시 중지되어야 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3) 모든 정맥 투여 제품과 마찬가지로, 무균 처리 과정이 이 약의 투여동안에 진행되어야 한다. 4) Syringe를 통해 일시적 주입(bolus)에 대한 이 약의 필요량을 회수한다. 멸균, 비발열성, 낮은 단백결합의 0.2 또는 0.22 μm syringe filter(Millipore SLGV025LS 또는 이에 상당하는 것)를 이용하여 일시적 주입액 (Bolus)을 여과한다. 일시주입은 1 분 이상 동안 투여되어야 한다. 5) Syringe를 통해 연속적인 주입(bolus)에 대한 이 약의 필요량을 회수한다. 멸균한 0.9% 생리 식염수나 5 % 덱스트로스에 주사하고 연속주입 펌프를 통해 계산된 속도로 주입하라. 연속주입은 멸균, 비발열성, 낮은 단백결합의 0.2 나 0.22μm syringe filter(Millipore SLGV025LS나 이에 대등한 것)나 멸균, 비발열성, 낮은 단백결합의 0.2 또는 0.22 μm in-line filter(Abott #4524 나 이와 같은 것)로 여과한다. 주입하고 나서 사용하지 않은 부분은 버린다. 6) 이 약은 2 ~ 8℃로 보관하며 동결시키지 않도록 한다. 7) 이 약의 바이알을 흔들지 않도록 한다. 8) I.V. infusion fluid나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심혈관계 약물과 함께 사용하면 안된다고 보고되지는 않았지만 가능하면 다른 약과 혼합하지 말고 분리된 I.V. line을 사용하여 투여 할 것을 권장한다. 11. 기타 동물시험에서 항원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 실패한 PTCA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