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약은 구강 내에서 신속하게 붕해되므로 타액만으로(물 없이)도 복용이 가능하지만, 구강 점막의 흡수로 효과가 나타나는 제제가 아니므로 붕해 후에는 타액 또는 물로 복용한다.
이 약은 운동실조를 보이는 다른 유사질환이 있으므로 병력 청취 및 전신의 물리적 소견에 따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후에 투여한다.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급성 심근경색 환자 3)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기능장애 환자(탈티렐린수화물제제를 투여하는 중증의 신기능장애환자 1명에서 혈장농도가 약 4.2배 상승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임신 중의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3) 부정맥 환자 4) 관상동맥심질환 환자 5) 중증의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뇌하수체선종 환자 3. 이상반응 1) 동일성분 5mg 정제의 임상시험에서 총 증례 694례 중 64례(9.22%)에서 82건의 이상반응이 보고되었고, 총 평가 예수 659례 중 70례(10.6%)에서 122건의 임상 검사치 이상이 보고되었다. 2) 동일성분 5mg 정제의 사용 성적 조사에서 총 증례 3,152례 중 271례(8.60%) 363건의 임상 검사치 이상을 포함한 이상 반응이 보고되고 있다. 3) 동일성분 5mg 정제의 장기 사용 성적 조사에서 총 증례 2,252례 중 107례(4.75%)에서 129건의 임상 검사치 이상을 포함한 이상 반응이 보고되었다. 4) 위의 임상시험, 사용성적조사 또는 자발적 보고 등에서 나타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빈 도 종 류 0.1 〜 5 % 미만 0.1 % 미만 혈액 및 림프계 장애 적혈구 감소, 헤모글로빈 감소 대사 및 영양계 TSH의 변화, 갑상선 호르몬 (T3, T4), 프로락틴 상승, 혈당 상승, CK (CPK) 상승 신경계 장애 두통, 현기증, 휘청거림, 떨림 저림, 졸음, 머리가 멍함, 불면증 심장장애 두근거림 혈관 장애 혈압 및 맥박수의 변동 위장 장애 구역, 구토, 설사, 식욕 부진, 위부 불쾌감, 위염, 복통, 구강 건조, 변비 설염 간 및 담도계 장애 AST (GOT), ALT (GPT), γ-GTP, Al-P, LDH, 중성 지방, 총 콜레스테롤 상승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발진, 가려움 신장 및 요로계 장애 BUN 상승, 빈뇨 생식 및 유방계 여성형 유방 전신 및 투여 부위 열감, 피로 탈모 4. 일반적 주의 내분비이상이 있는 환자에 대한 임상증상을 관찰하여 필요 시 혈중호르몬농도[갑상선자극호르몬(TSH), 프로락틴 등]을 측정하도록 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임신 중의 투여에 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2) 수유중인 부인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동물 실험에서 유즙 중에 이행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미숙아, 신생아, 영아에는 사용 경험이 없고, 유아, 아동 및 청소년에는 사용 경험이 적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은 주로 신장에서 배설되고, 고령자는 신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용량에 주의하여 투여한다. 8.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의 투여 시 PTP 포장의 약제는 PTP 포장에서 꺼내어 복용하도록 한다. (PTP 포장을 그대로 복용하여, 식도 점막으로 들어가거나, 천공을 일으켜 종격동염 등의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보고되었다.) 2) 이 약은 흡습성이 있으므로 복용 직전에 PTP 포장으로부터 꺼내도록 한다. 3) 자동분포기(가루약·환약 등을 1회분씩 나눠 포장)에는 적합하지 않다(일반정제와 비교하면 쪼개질 우려가 높다.). 4) 이 약이 부서지거나 쪼개진 경우 전량 복용하도록 한다. 5) 이 약은 혀 위에 올려놓고 타액을 침투시키면 침만으로 붕해되기 때문에 물 없이 복용 할 수 있다. 또한 물로 복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이 약은 누운 상태에서는 물 없이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7)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8) 2차 포장의 개봉 후에는 습기를 피해 보관한다. 9)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의 오용에 따른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 용기에 넣고 꼭 닫아 보관한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