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무수물, 분량 : 1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BP, 성분정보 : , 비고 :
시트르산수화물, 분량 : 5,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BP, 성분정보 : , 비고 :
시트르산나트륨수화물, 분량 : 8.3,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BP, 성분정보 : , 비고 :
카페인시트르산염 투여용량 투여경로 투여횟수 초기용량 1mL/kg (카페인시트르산염 20mg/kg) 정맥내 투여 (30분 이상) 1회 유지용량 0.25mL/kg (카페인시트르산염 5mg/kg) 정맥내투여(10분 이상) 또는 경구투여 초기용량 투여 후 매 24시간 마다 테오필린을 투여한 적이 있는 신생아 또는 카페인을 섭취한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이 약을 투여하기 전에 혈중 카페인 농도를 측정해야 한다. 주기적으로 혈중 카페인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50mg/L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85명의 신생아 중 6명에서 괴사성 장결장염이 발생하였고, 3명이 사망하였다. 6명 중 5명이 카페인시트르산염을 투여받았다. 메틸잔틴 계열의 약물과 괴사성 장결장염사이의 관계는 정립되지 않았다. 이 약을 투여하는 모든 신생아는 괴사성 장결장염의 발현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발작성 장애 환자 2) 심혈관계 질환 환자 3) 간장애 환자 4) 신장애 환자 4. 이상반응 이상반응 시험군 N = 46 n(%) 위약군 N = 39 n(%) 전신 우발적 손상 식이 거부증 패혈증 1(2.2) 4(8.7) 2(4.3) 0(0.0) 2(5.1) 0(0.0) 심혈관계 출혈 1(2.2) 0(0.0) 소화기계 괴사성 장결장염 위염 위장관 출혈 2(4.3) 1(2.2) 1(2.2) 1(2.6) 0(0.0) 0(0.0) 혈관 림프계 파종혈관내 응고 1(2.2) 0(0.0) 영양 대사 질환 산증 이상 치유 1(2.2) 1(2.2) 0(0.0) 0(0.0) 신경계 뇌출혈 1(2.2) 0(0.0) 호흡기계 호흡곤란 폐부종 1(2.2) 1(2.2) 0(0.0) 0(0.0) 피부와 부속기관 피부 건조 발진 피부 파손 1(2.2) 4(8.7) 1(2.2) 0(0.0) 3(7.7) 0(0.0) 특수 신경 미숙아의 망막병증 1(2.2) 0(0.0) 비뇨생식계 신부전 1(2.2) 0(0.0) 5. 일반적 주의 1) 카페인은 CYP1A2에 의해 주로 대사되므로, CYP1A2 효소와 관련된 약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 시메티딘, 케토코나졸 : 성인에서 카페인의 배설을 감소시키므로, 이 약물과 병용 투여 시 카페인을 감량하여 사용해야 한다. 3) 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 : 성인에서 카페인의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이 약물과 병용 투여 시 카페인을 증량하여 사용해야 한다. 4) 테오필린과 카페인의 상호전환이 미숙아에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동시적인 약물사용은 권장되지 않는다. 5) 케토프로펜과 카페인을 동시에 복용한 4명의 건강한 성인에게서 뇨량이 감소되었으나, 미숙아에서는 이러한 작용의 임상적 유의성이 밝혀지지 않았다. 7. 임부에 대한 투여 8. 과량 투여시의 주의사항 9. 적용상의 주의사항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15~30℃ 에서 보관한다. 11. 기타 1) 최적의 치료기간에 대해서는 확립된 바 없다.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이 약의 평균 투여기간은 37일로 보고되었다.
6.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