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연령·증상에 따라 적의 증감한다. 통상 소아에게는 푸마르산포르모테롤로서 1일 4㎍/kg 2∼3회에 나누어 경구투여한다. 소아에게는 다음의 1일 표준투여량을 2∼3회에 나누어 경구투여한다. 연 령 1일량 (푸마르산포르모테롤로서) 0.5∼1세 미만 20∼40㎍ 1∼4세 미만 40∼60㎍ 4∼7세 미만 60∼80㎍ 7∼10세 미만 80∼120㎍ 10∼12세 미만 120∼160㎍
:기관지천식, 급·만성기관지염, 천식성기관지염, 폐기종
이 약에 과민증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 2) 고혈압, 신부전증 및 부정맥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자 3) 당뇨병 환자 3. 부작용 1) 정신신경계 : 가끔 두통, 진정, 신경과민, 졸음이 나타나며, 또한 드물게 현기, 신경과민,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2) 감각기계 : 매우 드물게 인두염, 비충혈, 천명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가끔 식욕부진,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4) 순환기계 : 가끔 심계항진, 빈맥, 혈압변동이 나타나며, 드물게 부정맥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5) 과민반응 : 매우 드물게 피부발진, 혈관부종, 두드러기, 기관지경련, 구강인두부종, 저혈압, 허탈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나는 수가 있으며 이때는 투약을 중지 한다. 6) 기타 : 드물게 구갈, 구내염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4. 일반적 주의 1) 과도하게 사용을 계속하는 경우, 부정맥 따라 심정기를 일으킬 우려가 있고, 특히, 발작발현시 흡입투여의 경우에는 사용이 과도하게 되기 쉬우므로 충분히 주의할 것. 2) 용법·용량에 맞게 투여하여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약이 적당하지 않는 것 으로 생각하고 투여를 중지한다. 또한 소아에 투여시에는 사용법을 정확히 지도하고 경과를 충분히 관찰한다. 3) 외국에서 β₂-자극제에 의한 중독한 혈청 K치의 저하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β₂-자극제에 의한 혈청치의 저하 작용은 크산틴 유도체, 스테로이드제 및 이뇨제 의 병용에 의하여 증강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중증천식환자에서는 특히 주의할 것. 더욱이 저 산소혈중은 혈청K치를 모니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이 약은 프로프라놀롤등의 비선택적 베타-차단제와 병용부여해서는 안된다. 5) 다량의 타교감신경 흥분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 시에는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을 에피네프린, 이소프로테레놀 등의 카테콜 아민류와 병용하면 부정맥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해서는 안된다. MAO 저해제나 삼환계 항우울제로 치료중인 환자에게 본제를 투여하면 본제의 혈관계에 한 작용이 증감될 수 있으므로 극히 주의하여야 한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1) 일부 또는 임신가능성이 있는 부인에게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이 약의 유아에 대한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료사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 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미숙아 및 신생아에 대한 투여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과량투여 이 약의 연속투여중 볼 수 있는 과량투여에 의한 증상은 통상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면 소 실된다. 또한 이 약의 과량투여시의 적당한 해독제는 심장선택성 β-차단제이나 이를 기관 지경련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 투여시 주의하여야 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