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Clostridium botulinum CBFC26), 분량 : 200, 단위 : 유니트,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Clostridium botulinum CBFC26), 분량 : 200, 단위 : 유니트,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이 약을 희석하여(희석표 참조) 눈꺼풀경련에 적용 시 근전도 지시 없이 27~30게이지의 무균된 주사바늘을 사용한다. 상(上)검 내측과 대측의 검판전(前) 안륜근과 하(下)검 대측의 검판전(前) 안륜근에 초회 투여 권장량은 1.25~2.5U (각 부위에 0.05mL~0.1mL)이다. 일반적으로 주사의 초회 효과는 3일 이내에 나타나고 최고 효과는 1~2주 사이에 나타난다. 각 처치 효과는 대략 3개월간 지속되며, 이런 과정은 계속 반복될 수 있다. 초회 처치로 효과가 불충분(일반적 정의로 2개월 이상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 것)하다고 판단되면 반복 처치기간 동안 투여량을 2배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각 부위당 5.0U 이상 주사함으로 얻어지는 이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눈꺼풀경련을 치료하기 위해 매 3개월보다 더 자주 주사할 경우에는 약간의 내성이 일어날 수 있으나, 영구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30일간 투여 시 축적량은 200U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2. 미간주름 0.9% 무방부제 멸균 식염수로 200U/5.0mL (4U/0.1mL)가 되도록 희석한다. 30게이지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각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의 두 곳과 눈살근(Procerus Muscle)의 한 곳 총 5개 부위에 0.1mL씩 주사하여 총 20U을 주사한다. 눈꺼풀처짐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특히 큰 눈썹 억제근을 가진 환자에서는 안검 거근(Levator Palpebrae Superioris) 근처의 주사는 피한다. 안쪽 눈썹주름근과 눈썹중앙에 주사할때는 눈주변 상연으로부터 최소 1cm 떨어진 곳에 주사하여야 한다. 이 약 투여 시 혈관에 투여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눈주변 가장자리 밑의 삼출을 막기 위해서 주사 전 엄지 또는 검지를 눈주변 가장자리 아래에 단단하게 놓는다. 주사하는 동안 바늘은 위쪽 중간을 향해야 하며, 주입 용량을 정확하게 해야 한다.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과 눈둘레근(Orbicularis Oculi Muscle)이 이마 중간을 움직이며 미간얼굴주름을 만든다. 눈살근(Procerus Muscle)과 눈썹내림근육(Depressor Supercilii Muscle)이 이마를 아래로 당긴다. 이러한 근육들에 의해 찡그림 또는 미간 주름이 생성된다. 근육의 위치, 크기, 사용은 개인별로 다양하므로 유효한 용량은 주입된 표면 근육을 작동시키는 환자 능력에 대한 전체 관찰에 의해 결정된다. 미간주름에 대한 이 약의 치료효과는 약 3~4개월간 지속된다. 잦은 빈도의 이 약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임상적으로 평가되지 않았으며 권장되지 않는다. 3. 근육경직 정확한 용량 및 주사부위의 수는 관련된 근육의 크기, 수와 위치, 경직의 정도, 국소 근육 약화의 존재 여부, 이전 치료에 대한 환자의 반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근육 긴장의 임상적인 개선은 주사 후 3~5주 사이에 관찰되었다. 임상시험에서 투여된 양은 다음과 같다. 투여 부위 (Muscle) 총 투여 용량 (Total dose) 투여 부위 (Number of sites) 손목 굴근 (Flexed wrist) 요골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radialis) 자쪽손목굽힘근 (Flexor carpi ulnaris ) 15-60 U 10-50 U 1-2 sites 1-2 sites 주먹 쥠근 (Clenched fist) 얕은손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깊은손가락굽힘근 (Flexor digitorum profundus) 15-50 U 15-50 U 1-2 sites 1-2 sites 팔꿈치 굽힘근 (Flexed elbow) 위팔두갈래근 (Biceps) 100-200 U Up to 4 sites 임상시험에서는 용량은 최대 360U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각 근육에 나누어 주사 되었다. 멸균된 24~30 게이지의 주사 바늘을 사용하였으며, 근육조직의 깊이에 따라 적절한 길이의 주사침을 사용하였다. 전기자극, 침근전도 또는 초음파 등이 관련 근육의 위치 선정에 유용하다. 4. 소아뇌성마비 환자의 경직에 의한 첨족기형 경직된 장단지근의 내∙외측 heads 두 부분에 각각 투여한다. 양측마비에는 경직된 양쪽 다리에 총량 6U/kg body weight을 각각 3U/kg씩 나누어 투여하며, 편마비인 경우에는 투여가 필요한 다리에 총량 4U/kg body weight로 투여한다. 1회 최대 200U을 넘을 수 없으며 주사 후에는 급성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 후 30분간 환자상태를 확인한다. 5. 외안각 주름(눈가 주름) 외안각 주름은 눈을 깜박이거나 눈을 감을 때 사용되는 눈주변의 눈둘레근(Orbicularis Oculi Muscle) 활동에 의해 주로 생긴다. 눈둘레근의 강한 수축은 외안각에서 시작되는 외측의 부채꼴모양 접힘(눈가 주름)을 만든다. 이러한 부채꼴모양의 주름의 분포는 환자별로 다르다. 눈둘레근의 바깥쪽 측면에 한 측면당 3 부위, 양측면에 총 6 부위에 0.1mL(4U)씩 주사한다. 그림과 같이 첫 주사 지점은 외안각에서 관자놀이 쪽으로 최소 1.5-2.0 cm 떨어진 안와 가장자리이다(AX로 표기된 지점). 이후 첫 주사 지점으로부터 1.0-1.5 cm 떨어진 약 30도 안쪽 지점의 위, 아래 쪽(BX, CX로 표기된 지점)에 각각 주사한다. 외안각 주름(눈가주름) 개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16주간 단회투여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희석방법> 동결 건조된 이 약을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방부제 사용 없이 멸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0.9% 염화나트륨이 추천되는 희석액이다. 적당한 크기의 주사기에 적당량의 희석액을 넣는다. 이 약에 거품이 일거나 유사한 세찬 동요가 발생하면 변성되므로 바이알에 희석액을 서서히 넣는다. 진공 상태에서 희석액이 바이알 속으로 넣어지지 않았을 경우 이 바이알은 폐기해야 한다. 라벨에 용해시킨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고, 용해 후 24시간 내에 투여하도록 한다. 희석된 액은 냉장상태(2~8℃)에서 보관한다. 이 약을 용해시켰을 때 무색 투명하고 이물질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비경구 적용제제는 투여 전 이물질 혼입 및 변색 여부를 주의하여 검사해야 한다. 이 약과 희석액에 방부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1바이알을 1명 이상의 환자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희석표] 첨가된 희석액 (0.9% 염화나트륨 주사) 용해상태의 농도 (U/0.1mL) 1.0mL 2.0mL 4.0mL 8.0mL 20.0U 10.0U 5.0U 2.5U 주의: 이 희석액은 0.1mL 주사를 기준으로 계산한다. 또한 투여량의 증감은 주사 용량 증감에 의해 가능하다. 0.05mL(투여량에서 50% 감소)~0.15 mL(투여량에서 50% 증가)
2. 만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에 있어서 눈썹주름근(Corrugator Muscle) 그리고/또는 눈살근(Procerus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증 내지 중증의 심한 미간주름의 일시적 개선 3. 근육경직 : 만 20세 이상 성인의 뇌졸중과 관련된 상지 경직의 치료 4. 만 2세 이상의 소아뇌성마비 환자에 있어서 경직에 의한 첨족기형(Dynamic Equinus Foot Deformity)의 치료 5. 만 19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에 있어서 눈둘레근(Orbicularis Oculi Muscle) 활동과 관련된 중등증 이상의 외안각 주름(눈가 주름)의 일시적 개선
이 약의 유효성분은 보툴리눔균에 의해 생산되는 보툴리눔 독소 A형이므로 사용상의 주의를 숙지하고 용법·용량을 엄수하여야 한다. 이 약을 투여하는 의사는 관련된 신경근과 눈주변의 해부학적 구조, 이전 수술에 의한 해부학적 변화, 표준근전도기법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권장되는 투여량과 투여횟수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가.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을 가진 환자 나. 전신성 신경근접합부 장애를 가진 환자(중증근육무력증, Lambert-Eaton 증후군, 근위축성 측색경화증 등) - 근이완작용이 있어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다. 임신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가. 근이완제(염화투보쿠라린, 단트롤렌나트륨 등)를 투여 중인 환자 - 근이완작용이 증강되거나 삼킴곤란의 발현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나. 염산스펙티노마이신,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제(황산겐타마이신, 황산네오마이신 등), 폴리펩티드계 항생제(황산폴리믹신B 등),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린코마이신(Lincosamides)계 항생제, 근이완제(바클로펜 등), 항콜린제(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염산트리헥시페니딜 등), 벤조디아제핀계 및 이와 유사한 약제(디아제팜, 에티졸람 등), 벤자미드계 약제(염산티아프리드, 설피리드 등) 등의 근이완작용을 가진 약물을 투여 중인 환자 - 근이완작용이 증강되거나 삼킴곤란의 발현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4. 약물이상반응 가. 일반사항 ※ 발현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매우 드물게(<0.01%), 드물게(≥0.01% 이고 <0.1%), 흔하지 않게(≥0.1% 이고<1%), 흔하게(≥1% 이고 <10%), 매우 흔하게(≥10%) 나. 눈꺼풀경련 신체기관별 약물이상반응 보툴렉스 시험군(121명) 발현율 (건수) 대조군(104명) 발현율 (건수) 눈 눈꺼풀처짐 토끼눈증 눈마름 눈물흘림 눈부심 눈꺼풀부종 눈꺼풀늘어짐 이물감 복시 눈꺼풀속말림 눈곱 각막염 6.61% (8건) 6.61% (8건) 6.61% (8건) 3.31% (4건) 2.48% (3건) 0.83% (1건) 0.83% (1건) 0.83% (1건) - - - - 2.88% (3건) 5.77% (6건) 9.62% (10건) 4.81% (5건) 2.88% (3건) 0.96% (1건) - 0.96% (1건) 0.96% (1건) 0.96% (1건) 0.96% (1건) 1.92% (2건) 림프계 부종 4.96% (6건) 2.88% (3건) 피부 주사부위반응 홍조 가려움 2.48% (3건) - - 2.88% (3건) 0.96% (1건) 0.96% (1건) 통증 근육통 1.65% (2건) 0.96% (1건) 신경계 가면얼굴 0.83% (1건) - 다. 미간주름 신체기관별 약물이상반응 보툴렉스 시험군(134명) 발현율 (건수) 대조군(137명) 발현율 (건수) 일반적 장애와 주사부위 상태 주사부위반응 주사부위부기 3.0% (4건) 0.7% (1건) 8.0% (11건) - 안과계 장애 눈꺼풀처짐 결막염 눈꺼풀늘어짐 눈꺼풀감각장애 4.5% (6건) 0.7% (1건) 0.7% (1건) 0.7% (1건) 2.2% (3건) - - - 신경계통 장애 두통 어지러움 0.7% (1건) - 0.7% (1건) 0.7% (1건) 위장관 질환 구토 - 0.7% (1건)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접촉피부염 0.7% (1건) - 라. 상지 경직 신체기관별 약물이상반응 보툴렉스 시험군(95명) 발현율 (건수) 대조군(92명) 발현율 (건수) 감염 비인두염 1.05% (1건) - 신장 및 비뇨기계 장애 빈뇨 1.05% (1건) - 피부 및 피하조직 장애 다한증 - 1.09% (1건)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만 20세 이상 성인의 뇌졸중과 관련된 상지 경직 환자 6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2.63%(86/681명, 총 123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보고는 없었으며,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다. 중대한 이상사례 1.32% (9/681명, 12건) 때때로(0.1~5%미만) 신경계 장애 뇌출혈*, 뇌경색* 혈관 장애 장골동맥폐색*,말초동맥폐색성질환* 심장 장애 협심증* 눈 장애 백내장* 위장관 장애 변비* 감염 및 기생충 감염 바이러스감염*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상지골절* 정신 장애 자살*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전립선염*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기흉* * 예상하지 못한 중대한 이상사례 또한,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와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다음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10.43%(71/681명, 97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44%(3/681명, 3건) 때때로(0.1~5%미만)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근육통, 근골격통증, 늑연골염, 서혜부통증, 슬하지방체염증, 근골격경직, 근막통증증후군, 골감소증, 사지통증 근육통 신경계 장애 두통, 어지러움, 뇌출혈, 뇌경색, 감각저하, 발작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병태 발열, 무력증, 열감, 보행장애, 말초종창 무력증, 열감 위장관 장애 설사, 복통, 하복부통증, 변비, 충치, 치은 출혈, 치핵, 오심, 구토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연조직염, 요로감염, 바이러스감염, 아데노바이러스결막염, 맥립종, 손발톱진균증, 치주염, 결핵 -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기침, 구인두통증, 기흉, 편도결석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피부염, 진피낭종, 건선, 지루성피부염 -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상과염, 근육염좌, 열 화상, 상지골절, - 눈 장애 백내장, 눈건조, 눈소양증, 눈꺼풀처짐 - 임상 검사 간기능시험이상, 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증가, 아스파르트산아미노전이효소증가 - 생식계 및 유방 장애 양성전립선과형성, 전립선염 - 혈관 장애 저혈압, 장골동맥폐색, 말초동맥폐색성질환 - 심장 장애 협심증 - 간담도 장애 담관폐색 - 정신 장애 자살 - 신장 및 요로 장애 소변정체 - 마. 소아뇌성마비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만 2세 이상의 소아뇌성마비 환자에 있어서 경직에 의한 첨족기형의 치료와 관련하여 환자 4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6.01%(69/431명, 89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보고는 없었으며,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다. 중대한 이상사례 1.86%(8/431명, 9건) 때때로 (0.1~5%미만)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충수염*, 비인두염, 포도상구균감염* 신경계 장애 발작*, 간질* 위장관 장애 장염* * 예상하지 못한 중대한 이상사례 또한,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와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다음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8.12%(35/431명, 44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0.23%(1/431명, 1건) 때때로(0.1~5%미만) 호흡기, 흉곽 및 종격 장애 호흡기증상, 콧물, 기침, 비출혈 - 근골격 및 결합 조직 장애 사지통증, 등허리통증, 근육긴장, 경부종괴, 턱통증 근육긴장 감염 및 기생충 감염 충수염, 맥립종, 부비동염, 포도상구균감염 - 신경계 장애 발작, 간질, 근육강직 - 전신 장애 및 투여 부위병태 발열 - 피부 및 피하 조직 장애 여드름, 홍반, 구진 - 위장관 장애 변비, 장염 - 손상, 중독 및 시술 합병증 인대염좌, 손발톱손상 - 내분비 장애 성조숙증 - 대사 및 영양 장애 식욕감소 - 신장 및 요로 장애 과다긴장방광 - 혈관 장애 사지괴사 - 바. 외안각 주름(눈가 주름) 5. 일반적 주의 가. 이 약은 사람혈액에서 유래한 사람알부민을 함유하고 있다. 사람 혈액 또는 혈장에서 제조 된 의약품을 투여할 때 전염성 물질의 전이로 인한 감염질환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이 사항은 역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병원물질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물질의 전염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조공정 중에서 적절한 측정법을 사용하여 기증자나 기증부위의 선별이 시행됨과 더불어 감염물질의 제거 및/또는 불활성화시키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나. 치료하는 질병 자체에 기인하여 기계조작이나 운전 능력에 대한 이 약의 효과는 예견할 수 없다. 다. 미간 주름/외안각 주름(눈가 주름) 라. 근육경직 마. 소아 뇌성마비 가. 다른 보툴리눔독소 제제에서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계 항생제 또는 근육ㆍ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약물(투보쿠라린계 근이완제)과 병용시 보툴리눔독소 제제의 약효가 증가하였다.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계 항생제 또는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과의 계속적인 병용은 금기이다. 이 약 투여환자에 폴리믹신(Polymyx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린코마이신(Lincomycin)의 사용은 신중해야한다. 나. 다른 보툴리눔 신경독소혈청형을 동시 또는 수개월 내에 투여한 경우의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전에 투여한 보툴리눔독소의 효과가 사라지기 전에 다른 보툴리눔독소를 투여한 경우 근신경쇠약이 과도하게 악화될 수 있다. 7.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본 약물의 임부에 대한 적절하고 잘 대조된 연구는 없다. 임신한 랫드를 대상으로 한 용량설정 연구에서 랫드의 기관형성기(수태 5 ~ 16일)에 해당하는 12일간 1, 4 및 8U/kg/일로 매일 근육투여 시, 임신 모체 및 배태자 발생에 대한 무독성량(NOAEL)은 모체 및 태자 모두1U/kg/일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4U/kg/일 용량 이상에서 사료섭취량 감소 및 체중증가 억제, 그리고 가슴샘, 비장, 신장, 심장, 폐 및 간장의 절대 중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모체 독성으로 왜소 태자 증가, 태자 중량 및 골화수 감소로 연계되나, 착상 후 태자 사망률의 변화로 이어지지 않으므로 태자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보다는 이차적인 영향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약물을 임부에게 투여 시 랫드에서 관찰된 독성을 알려야 한다. 보툴리눔독소가 유즙중에 분비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약물이 유즙중에 분비되므로 수유부에 투여 시 세심히 관찰해야 한다. 임신 중 또는 수유 중에는 이 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이 약은 눈꺼풀경련, 미간주름 개선의 경우 만 18세 미만, 외안각 주름(눈가 주름)의 경우 만 19세 미만, 근육경직(뇌졸중과 관련된 상지경직) 개선의 경우 만 20세 미만의 소아 및 청소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소아뇌성마비 환자의 경직에 의한 첨족기형의 경우 만 2세 미만의 소아에서 별도의 임상을 수행하지 않았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9.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성, 기형유발성 발암성, 돌연변이 유발성, 기형유발성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임상시험을 진행하지 않았다. 10. 과량투여시의 처치 과량 투여시의 증후와 증상은 주사 직후에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사고로 투여되거나 경구 투여한 경우, 전신적인 쇠약 또는 근육마비의 징후 또는 증상을 수 주 동안 의학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과량투여나 잘못 투여한 것을 바로 인지한 경우 항독소를 사용할 수 있다. 항독소는 항독소 투여시점에 이미 발현된 근육위약효과를 반전시키지는 않는다. 구강인두와 식도의 근육이 영향 받았을 경우, 흡인이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흡인성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다. 호흡기 근육들이 마비되거나 약화된 경우, 회복 시까지 삽관과 보조 호흡이 필요할 수 있다. 기타 일반 보조요법에 더하여, 기관절개술 그리고/또는 장기간의 기계호흡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은 부가적인 의학적 평가와 입원을 포함한 즉각적인 적절한 조치를 고려하여야 한다. 11. 적용상의 주의사항 동결 건조된 이 약을 용해시키기 위해 무보존제 멸균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0.9% 염화나트륨 주사가 권고되는 희석액이다. 적당한 크기의 주사기에 적당량의 희석액을 넣는다. 보툴렉스에 거품이 일거나 유사한 세찬 동요가 일어나면 변성되므로, 바이알에 희석액을 서서히 넣는다. 진공 상태에서 희석액이 바이알속으로 넣어지지 않으면, 그 바이알을 폐기시킨다. 라벨에 용해시킨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고, 용해 후 24시간 내에 투여되어야 한다. 이 기간동안 용해된 이 약은 냉장상태(2~8℃)에서 보관한다. 용해시킨 이 약은 무색투명하고 특기할만한 물질은 보이지 않아야 한다. 비경구 적용제제는 투여 전 특기할만한 물질과 변색 여부를 그 용액과 포장상태가 허락하는 한 언제나 시각적으로 세밀히 검사되어야 한다. 이 제제와 희석액에 보존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으므로 1 바이알을 1명 이상의 환자에게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개봉되지 않은 이 약은 냉장보관(2~8℃)해야 한다. 용해시킨 이 약은 24시간 동안 냉장보관(2~8℃)할 수 있다. 유효기간이 지난 바이알을 포함한 모든 바이알 또는 제품과 직접 접촉한 용품은 의료폐기물로 폐기되어야 한다. 독소의 불활성화가 필요한 경우(예. 유출) 의료폐기물로 폐기 전 희석된 hypochlorite (0.5 또는 1%)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13. 환자를 위한 정보 이 약의 효과와 위험에 관한 어떤 우려든 의사와 상담한다. 이상사례의 징후나 증상에 주의를 기울인다. 치료 후 삼키기나 말하기에 곤란을 겪거나 호흡곤란, 근력약화를 경험하면 즉각적으로 의료적 도움을 구한다. 이상사례는 치료 후 몇 시간 내에 또는 수 주 후에 나타날 수 있다. 장기간 눈꺼풀경련을 가진 환자는 활동성이 떨어진 상태일 수 있다. 이런 눈꺼풀 경련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 후 서서히 활동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주의시켜야 한다. 보툴렉스는 근신경 말단부에 있는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경말단부에 들어가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근신경의 전도를 차단한다. 치료용량 내에서 근육 내에 주입되었을 때, 보툴렉스는 화학적 신경제거 작용에 의해 국소적인 근육마비를 일으킨다. 근육이 화학적으로 신경 제거되었을 때 근육은 쇠약해지고 접합부 외에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발달시킬 수 있다. 신경이 새로 생기고 신경 자극이 근육에 다시 흐를 수 있어 '탈력감'이 가역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여 주고 있다. 보툴리눔독소의 마비효과는 눈꺼풀경련과 관련된 과도한 비정상적인 수축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하다. 그러나 보툴리눔독소 A형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면 보툴리눔독소 치료법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툴렉스는 눈꺼풀경련 치료 시 가능한 한 어떤 경우든 1달 기간 동안 200U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6. 약물상호작용
보툴렉스주(보툴리눔독소 A 형) 본 전문가용 설명서는 보툴렉스주 위해성관리계획의 일환으로, 해당 의약품을 시술하시는 의사 선생님을 대상으로 품목 허가된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유효한 사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관리 목적으로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보툴렉스주 투여 시 환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소의 원거리 확산 등의 중요한 위해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포함된 정보를 의사에게 상기 시키고, 환자에게 해당 위험에 관해 교육하는 것을 포함하여 적절한 위험관리를 돕기 위해 휴젤㈜에서 제작하였습니다. 담당의사는 본 설명서와 함께 제공되는 환자용 설명서 및 제품의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사용하여 외안각주름의 일시적 개선 목적으로 보툴렉스주를 투여 받을 환자에게 규명된 위해성 및 잠재적 위해성을 포함한 아래의 위해성에 대해 설명할 것이 권장됩니다. ∙ 외안각 주름의 위해성(사용상의 주의사항의 4. 이상사례 바. 외안각 주름(눈가 주름) 참조) 주사시술과 관련된 경미한 국소반응(적용부위통증, 주사부위불편감) 주사행위 자체와/또는 시술자의 주사시술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담당의사는 주사시술에 숙련이 되어있어야 하며, 가느다란 주사바늘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주사바늘을 교체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에게 시술 전 10~14일 동안 혈액의 응고를 막는 약 또는 항혈전제, 고용량의 비타민 E, 아스피린과 같은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의 투약 및 사용을 금하게 한다. 시술 전에 작은 표재성 혈관이 잘 보이도록 세안 및 화장을 지운 후 시술하며, 주사 후 시술부위를 압박(마사지) 또는 아이스팩을 사용하여 해당 이상반응을 예방할 수 있다. ∙ 중요한 규명된 위해성(사용상의 주의사항의 1. 경고 및 11. 적용상의 주의사항 참조) 허가사항에 수록된 예로 드물지만 아래와 같은 위해성 또는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1) 독소 효과의 원거리 확산 2) 과민반응 3) 신경근질환이 있는 경우 4) 삼킴곤란 5) 부정맥과 심근경색을 포함한 심혈관계의 위험성 6) 안구후부 출혈 7) 눈꺼풀경련 8) 상호대체 불가능 9) 해부학적으로 취약한 구조 내 또는 주변에 주사시의 잠재적 위험 10) 호흡기장애 성인 환자의 상지경직 또는 신경인성 배뇨근 과활동성 치료 시 폐 기능에 미 치는 영향 11) 상지경직 치료 성인환자에서 기관지염과 상기도감염 ∙ 기타 주의사항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을 위해 올바른 제품 보관, 정확한 용량 선택과 희석량 그리고 담당의사의 주사 기법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문의료진은 본 의약품의 허가사항을 정확히 파악 및 숙지하여야 한다. 담당의사는 환자의 정확한 병력(medical history)을 확인하고, 신체검사를 통해 환자들이 쉴 때와 움직일 때의 근육활동, 비대칭 여부, 금기증 해당 여부 등을 관찰하고 충분한 시간을 들여 환자와 상담하여 성공적인 치료 및 시술결과가 환자의 요구/기대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술하기 앞서, 환자가 보툴리눔 제제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고 비영구적인 효과 및 지속기간, 재투여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보툴리눔 제제 투여 시 신중투여 대상과 각 적응증에 대한 투여가능 연령 및 용법용량을 확인하며, 특히 처음 투여할 때는 최소 권고용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문서의 효능·효과, 용법·용량, 사용상의 주의사항의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및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참조) 제품관련 상세정보 및 기타 문의사항은 http://www.hugel.co.kr을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발생하는 모든 부작용은 https://www.drugsafe.or.kr/ 또는 전화 1644-6223을 통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and Risk Management)에 보고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보툴렉스 홈페이지 http://www.hugel.co.kr으로 부작용 문의 및 보고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용 설명서 제정일자: 2019 년 10월 (보툴렉스 위해성관리계획 ver1.1)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