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페그인터페론알파-2b, 분량 : 0.5,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E. coli BLR(DE3), 벡터: PECp1040
로페그인터페론알파-2b, 분량 : 0.25,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E. coli BLR(DE3), 벡터: PECp1040
권장 주사부위는 배꼽이나 허벅지 주변에서 5 cm 이상 떨어진 부분의 복부 피부이며 자극감, 발적, 멍, 감염 또는 상처가 있는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용량 조절 용량은 개인에 따라 조절하며, 권장 초회 용량은 100 μg이다. 세포 감소치료 중인 환자의 경우 50μg부터 투여한다. 용량은 혈액학적 지표가 안정될 때까지(적혈구용적률 45% 미만, 혈소판 400 x 109/L미만, 백혈구 10 x 109/L미만) 2주 간격으로 50μg씩 점차적으로 증량하여야 한다. 동시에 다른 세포 감소치료는 적절하게 점차 감량한다). 1회 최대 권장용량은 2주 1회 500 μg이다. 용량 유지 혈액학적 지표가 안정된 경우 해당 투여 용량을 2주 간격으로 최소 1.5년 동안 투여해야 한다. 이후 투여 간격은 환자에 따라 최대 4주까지 늘릴 수 있다. 4주 간격으로 투여 받은 후 필요시, 2주 간격으로 이 약을 투여 받을 수 있다. 치료 중 이상반응이 발생한 경우, 용량을 감량하거나 이상반응이 완화될 때까지 치료를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며, 중단 후 재투여시 이상반응이 발생한 용량보다 낮은 용량에서 투여해야 한다. 혈액학적 지표(적혈구용적률, 혈소판, 백혈구)의 증가가 관찰된 경우, 용량 및/또는 투여간격을 개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1) 이 약의 주성분 또는 첨가제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2) 표준 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갑상선질환 환자 3) 중증 우울장애, 자살충동 또는 자살시도와 같은 중증 정신과 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4) 중증 심혈관 질환 환자 (예: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울혈성심부전 (NYHA class 2 이상), 심각한 부정맥, 중대한 관상동맥협착, 불안정협심증) 또는 최근 뇌졸중이나 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 5) 자가면역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6) 면역억제제를 투여받는 장기이식 환자 7) 텔비부딘(Telbivudine)을 투여받는 환자 8) 비대상성 간경변(Child-Pugh B 또는 C) 환자 9) 말기 신장질환(GFR <15 mL/min) 환자 2. 약물이상반응 1) 안전성 자료의 요약 2) 이상반응 요약 표 1.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신체기관 빈도 약물이상반응 감염 및 체내침습 흔하게 호흡기 감염, 비염, 피부 진균 감염 흔하지 않게 구강 헤르페스, 대상포진, 구강 칸디다증, 축농증, 식도 칸디다증, 외음질 진균감염, 다래끼, 손발톱진균증 혈액 및 림프계 이상 매우 흔하게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흔하게 범혈구감소증, 호중구감소증, 빈혈 면역계 이상 흔하지 않게 바제도병, 유육종증 내분비계 이상 흔하게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염 대사 및 영양 이상 흔하게 고중성지방혈증, 식욕감퇴 정신 이상 흔하게 우울, 불면, 불안, 기분변화, 기분동요, 무기력증 흔하지 않게 급성스트레스성장애, 환각, 정신적 피해, 신경과민, 무감각, 악몽, 과민성 신경계 이상 흔하게 두통, 어지럼증, 감각저하, 졸음, 지각이상 흔하지 않게 다발성신경병증, 말초운동신경병증, 신경근병증, 편두통, 지적장애, 떨림, 전조 안과 이상 흔하게 안구건조증 흔하지 않게 시각장애, 시력감퇴, 시야흐림, 안구불편감, 눈꺼풀 습진 청각 및 균형 이상 흔하지 않게 청각소실, 이명, 어지럼증 심장 이상 흔하게 심방세동 흔하지 않게 방실차단, 심장내 혈전, 대동맥 판막 기능부전, 심혈관계질환 혈관이상 흔하게 미세혈관병증 흔하지 않게 레이노증후군(Raynaud's phenomenon), 고혈압, 혈종, 홍조 호흡, 흉부, 종격계 이상 흔하게 호흡곤란 흔하지 않게 간질성폐렴, 기침, 비출혈, 인후자극 위장관계 이상 흔하게 설사, 오심, 복통, 변비, 복부팽만, 구갈 흔하지 않게 위염, 복벽이상, 고창, 잦은배변, 연하통, 잇몸출혈 간담도계 이상 매우 흔하게 GGT 증가 흔하게 간 질환, ALT 증가, AST 증가, ALP 증가 흔하지 않게 간독성, 독성간염, 간비대 피부 및 피하조직 이상 흔하게 소양증, 탈모, 발진, 홍반, 건선, 건피증, 여드름성피부염, 과다각화증, 다한증, 피부건조 흔하지 않게 광과민성반응, 피부벗겨짐, 조갑이영양증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 이상 매우 흔하게 관절통, 근육통 흔하게 쇼그렌증후군, 관절염, 사지통, 근골격계 통증, 뼈통증, 근육경련 흔하지 않게 근력약화, 목통증, 서혜부통증 신장 및 비뇨기계 이상 흔하지 않게 출혈성방광염, 배뇨장애, 절박뇨, 요저류 생식기계 및 유방 이상 흔하지 않게 발기부전, 혈정액증 전신 및 투여부위 이상 매우 흔하게 유사독감, 피로 흔하게 발열, 주사부위반응, 무력증, 오한, 전반적 신체 건강 악화, 주사부위 홍반 흔하지 않게 주사부위 통증, 주사부위 소양증, 날씨변화에 민감 임상검사치 이상 흔하게 항갑상선항체 양성, 혈중 갑상선자극호르몬 증가, 체온 증가, 항핵항체 양성, LDH 증가 흔하지 않게 혈소판 수 증가, 혈중 요산 증가, 쿰스 시험 양성, 체중감소 3) 주요 이상반응 표 2.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 178명에서 발생한 가장 흔한 약물이상반응 10 % 이상 발생한 약물이상반응 환자수 (%) 발생률 CTCAE 3등급 이상 N(%) 용량 감량 N(%) 투여 일시 중지 N(%) 투여 중단 N(%) 회복 N(%) 백혈구감소증 34(19.1) 27.2 3(8.8)* 23(67.6) 7(20.6) - 33(97.1) 혈소판감소증 33(18.5) 15.0 4(12.1)* 13(39.4) 3(9.1) 1(3.0) 31(94.0) 관절통 23(12.9) 8.5 1(4.3)* 4(17.4) 4(17.4) 2(8.7) 22(95.7) 피로 22(12.4) 10.1 - 3(13.6) 1(4.5) 1(4.5) 21(95.5) 유사독감 19(10.7) 6.3 - 3(15.8) 3(15.8) - 18(94.7) 근육통 19(10.7) 6.0 - 6(31.6) 1(5.3) - 18(94.7) *CTCAE 4등급 (생명을 위협하거나 장애를 초래) 또는 5등급 (사망)에 해당하는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음. 위장관계 이상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3. 일반적 주의 1) 용량조절 2) 내분비계 3) 중추신경계 4) 심혈관계 5) 호흡기계 6) 시각계 7) 급성 과민증 8) 간 기능 9) 신 기능 10) 치아 및 치주질환 11) 피부 이상 12) 첨가제 사람을 대상으로 이 약의 임상적 약물-약물 상호작용 전문 연구가 수행된 바 없다.In vitro 약물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이 약이 인간 간내 사이토크롬 P450에 직접적인 억제나 유도 가능성이 없었으나, CYP2A6에 의한 시간 의존적 억제 가능성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CYP2A6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들은 이 약과 병용 투여할 때 주의해야 하며, 해당 약물의 혈중 농도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적절하게 이 약의 투여 용량을 조절하여야 한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피임 2) 임부 3) 수유부 4) 수태능 6.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 및 청소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 환자에서 이 약의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8.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 간장애 및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약동학적 연구가 되지 않았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중 13. 전문가를 위한 정보 항 참고) 9. 운전 및 기계조작능력에 대한 영향 이 약은 운전 및 기계조작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약의 투여 중 어지럼증, 졸음 또는 환각을 경험한 환자는 운전이나 기계조작을 피한다. 10. 과량투여 시의 처치 임상시험 중 이 약을 우발적으로 과량 투여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권장 초회 용량의 10배를 투여 받았으며 3일 간 심각하지 않은 유사독감 증상을 보였다. 이 약의 투여 중단과 아세트아미노펜을 투여 후 완전히 회복하였다.이 약에 대한 해독제는 없다. 과량 투여 시 환자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권장한다. 11.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의 초회 용량은 2주 1회 100 μg이다. 이 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투여량을 단계적으로 증량할 것이며 치료 중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2) 의사는 중증의 신장 장애가 있는 경우 초회 용량을 50 μg으로 감량하여 투여한다. 3) 이 약은 피하주사용이므로 자극감, 발적, 멍, 감염 또는 상처가 있는 부위에는 주사하지 않는다. 4) 감염성 질환의 전파를 막기 위해, 주사침을 교체한 경우에도 타인과 이 약을 공유해서는 안 된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사용기한은 외부 포장 용기 및 라벨에 “EXP”이후로 표시 되어있으며 사용기한이 지난 제품은 사용하지 않는다. 3) 2 ~ 8 ℃에서 냉장 보관한다. 4) 얼려서는 안 된다. 5) 차광을 위해 원래의 외부 포장에 보관하도록 한다. 6) 제품이 손상된 경우, 용액이 탁하거나 입자 또는 조각이 있는 경우, 무색 또는 약간 노란색이 아닌 다른 색상을 띄는 경우 사용하지 않는다.
4. 상호작용
1) 약리작용 정보 2) 약동학적 정보 (1) 흡수 (2) 분포 (3) 대사 (4) 배설 (5) 선형/비-선형 (6) 간장애 환자 (7) 신장애 환자 (8) 고령 환자 (9) 비만 또는 저체중 환자 3) 임상시험 정보 임상시험(PROUD-PV) 표 3. PROUD-PV 임상시험의 인구통계학적 자료 이 약 (n=127) 대조군 (n=127) 연령 세* 58.5 ±10.81 57.9±13.10 성별 여성 n (%) 68 (53.5) 67 (52.8) 남성 n (%) 59 (46.5) 60 (47.2) 인종 백인 n (%) 127 (100.0) 127 (100.0) 진성적혈구증가증 발생기간(개월)* 12.6±24.70 15.7±25.65 JAK2V617F 대립유전자 부담 (%)* 41.9±23.49 42.8±24.14 혈액학적 평가변수 적혈구용적률 (%)* 47.8±5.22 48.6±5.39 혈소판 (109/L)* 537.7±273.08 516.8±254.43 백혈구 (109/L)* 11.5±4.76 11.9±4.88 비장 비대 유무 없음 n (%) 115 (90.6) 112 (88.2) 있음 n (%) 12 (9.4) 15 (11.8) *평균±표준편차 임상시험(CONTINUATION-PV) 표 4. 정상 비장 크기를 동반한 완전 혈액학적 반응 결과 이 약 95명 대조군 76명 24개월1시점 평가 결과 완전 혈액학적 반응a 37.4% (34/91) 34.3% (23/67) 완전 혈액학적 반응a 및 질병부담의 개선b 49.5% (47/95) 38.0% (27/71) 36개월2시점 평가 결과 완전 혈액학적 반응a 42.2% (38/90) 30.43% (21/69) 완전 혈액학적 반응a 및 질병부담의 개선b 52.6% (50/95) 37.8% (28/74) a 정상 비장 크기를 동반한 헤마토크릿 45% 미만(사혈법 없이, 최소 3개월 이상 사혈 미시행), 혈소판 400 x 109/L미만, 백혈구 10 x 109/L미만에 해당하는 환자의 비율로 정의 b 질병관련징후(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비장 비대) 및 질병관련증상(미세혈관 장애, 소양증, 두통)의 개선으로 정의 1 PROUD-PV연구 치료 기간 12개월, 연장 연구 치료 기간 12개월 2 PROUD-PV연구 치료 기간 12개월, 연장 연구 치료 기간 24개월 4) 비임상시험 안전성 정보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