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 간염 800mg(4회분복) 10-14일 B,C 간형 800-1200mg(3-4회 분복) 6개월-1년 헤르페스 대상포진, 단순포진 400-1200mg (3-4회 분복) 7-10일 헤르페스 음부포진 재발 예방 400mg (1-2회 분복) 6개월
1. C형 간염 2. B형 간염 3. 대상포진/단순포진 4. 인플루엔자 5. 바이러스성 소아질환 : 홍역, 유행성 이하선염, 수두, 호흡 합포체 바이러스등 어린이 바이러스성 질환에 리바비린이 사용된다.
빈혈이 생길 때는 2주간 치료를 중단한다. 헤모글로빈치의 증가로 확인되는 개선이 보인다면, 같은 양으로 치료를 계속한다. 2주 휴약 기간 동안 개선이 없다면 1일 투여량을 200mg 줄인다. 2. 금기 및 주의 신 기능이 매우 손상된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이 30ml/min 미만) 또는 명백한 만성빈혈환자(헤모글로빈이 10g/㎗미만)의 경우는 금기한다. 바이비린캅셀(한불제약) 임신중 복용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광범위한 간섬유화 또는 신장손상이 있는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한다.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환자는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해야 하며 치료 기간 및 치료 후 9개월 동안 임신검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남성 환자 및 여성 파트너는 치료 기간 및 치료 후 6개월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해야 한다. 3. 부작용 24주 동안 하루에 800, 1000 또는 1200mg을 만성 간염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특별히 두드러지는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같은 용량을 24주 더 투여했을 때 약간의 가역적 용혈성빈혈이 부작용으로 관찰되었다. 리바비린 치료로 인한 빈혈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혈구수와 혈청 생화학적 관찰로 치료한다. 리바비린 고용량을 장기 복용할 때의 안전성은 이것으로서 확립된다. 다른 부작용은 경미하거나 치료를 중단했을 때 완전히 가역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부작용으로는 근육통, 오심, 피로감, 가려움중 등이 있다. 환자들은 경구 또는 정맥으로 리바비린을 투여했을 때, 혈청 bilirubin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경험하였다. 위장관 또는 중추신경계 방해 등의 부작용도 보고되었다. 리바비린 치료는 혈청 뇨산 농도를 약간 높일 수 있다. 임상시험에서 증상을 수반하는 통풍을 일으킨 적은 없었다. 4. 독성 리바비린의 광범위한 독성 시험이 이 약의 가능한 부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종의 동물을 대상으로 행해졌다. 다양한 매개변수가 조사되었던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임상 조건하에서 사람에게 사용된 용량으로 투여된다면, 리바비린이 어떠한 부작용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리바비린과 Dideoxyinosine(ddl)는 HIV 저해제로서 전신 투여할 때 상승작용이 관찰되었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5. 약물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