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염, 부비동염 또는 비인후염에 의한 후비루 2) 급∙만성기관지염
1) 크산틴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2) 크산틴계 약물에 대한 심한 부작용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성 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경련증상이 있는 환자 3) 심각한 급성 감염성 폐질환, 결핵 4) 간장애 환자 5) 급성 신염 환자 6) 울혈성 심부전 환자 7) 알코올 중독 환자 8) 저산소혈증 환자 9) 고혈압 환자 10)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 11) 빈맥성 부정맥 환자 12) 심근경색 환자 13) 저혈압 환자 3. 이상반응 1) 국내에서 비염, 부비동염 또는 비인후염에 의한 후비루 및 만성기관지염에 의한 기침 성 인환자 169명을 대상으로 한 제2상 및 제3상 임상시험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약물 관련 부작용은 두통(10.1%), 어지러움(5.3%), 구역(5.3%)이었다. 그 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2) 국내에서 급성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 성인 환자 163명을 대상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 에서 보고된 약물관련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3)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4. 일반적 주의 바이러스 감염, 간•신기능 장애, 고령자, 심부전 환자 등에서는 이 약의 혈장청소율이 감 소할 수 있다. 다음 약물들과는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 없으나, 동일계열 유사약제의 경우로 보 아,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한다. 1)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 음식이나 아미노필린, 테오필린, 옥스트리필린 등 다른 크산틴 계 약물 2) 코카인, 암페타민, 코데인 등의 중추신경 흥분제 또는 염산이소프레날린, 염산클렌부테롤, 염산튜로부테롤, 유산테르부탈린, 염산프로카테롤 등의 교감신경흥분약(β-효능약) 3) 염산메실레틴, 노르플록사신, 인터페론, 트리암시놀론, 시메티딘, 에녹사신, 시프로플록사 신, 토수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이프리플라본, 프로프라놀롤, 경구용 피임약, 피페미딘산 삼수화물, 티아벤다졸, 염산아미오다론 등과 병용투여시 이 약의 청소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흡연 및 알코올 섭취, 바르비탈계, 리팜피신 등과 병용투여시 이 약의 청소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카바마제핀과 병용시 서로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6) 크산틴계 약물의 투여로 β2-효능약, 스테로이드제, 이뇨제 및 저산소증으로 인한 혈청 칼륨치의 저하작용이 악화될 수 있다. 7) 할로탄과의 병용 투여시 약리학적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임상적 사용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 대한 임상적 사용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수유부에는 치료상의 유의성이 영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미만의 소아, 청소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70세를 초과하는 고령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소화기 증상(특히 구역, 구토, 복통) 및 정신신경 증상(두통, 불면, 불안, 흥분, 경련 등), 순 환기증상(동빈맥, 심실성부정맥). 근골격증상(횡문근융해증) 및 대사이상(산/염기 장애)이 나 타나는 경우 위 내 내용물을 비우고 심전도를 모니터하며 체액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활 성탄의 경구투여는 혈중농도를 낮추고 심한 중독의 경우 약용탄-컬럼 혈액환류를 한다. 나 타나는 증상은 즉시 치료한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 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 로 이를 주의한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