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렌드론산나트륨, 분량 : 91.37,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BP, 성분정보 : 알렌드론산으로서 70밀리그램, 비고 :
○ 광천수, 보리차를 포함한 다른 음료나 음식, 약물은 이 약의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다(상호작용항 참고). 이 약을 복용한 후 30분 이내 혹은 동시에 음식물을 섭취하면 약물의 체내흡수가 저하되어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이 약은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복용하여야 하며 약물을 위로 신속히 도달시켜 식도자극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분한 양의 물(170 ∼ 230 mL)로 삼켜야 한다. 복용 후에는 적어도 30분간 그리고 최초 음식물 섭취 후까지 누워서는 안 된다. 이 약은 취침 전이나 기상 전에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복용법을 따르지 않았을 경우 식도 이상반응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경고항 및 일반적 주의항 참고). 환자가 음식물로부터 칼슘 및 비타민D 섭취가 불충분할 경우 보충제를 복용해야 한다(일반적 주의항 참고). ○ 적정 복용기간은 정해지지 않았다. 골다공증 치료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4년간의 임상자료에 근거한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를 투여받고 있는 모든 환자는 정기적으로 지속적인 투여의 필요성에 대해 재검토 되어야 한다. 골절 위험이 낮은 환자는 3 ∼ 5년동안 복용 후에는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투여를 중단한 환자는 골절의 위험성에 대해 정기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 정해진 복용일에 복용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 다음날 아침 70 mg을 복용하고 기존에 정해진 복용일에 다시 복용하고 이후 주 1회 정기적으로 복용한다. 단, 같은 날 2정을 복용해서는 안된다
* 70 mg 1.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2.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
이 약은 다른 경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와 마찬가지로 상부 위장관 점막에 국소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점막 자극과 기저질환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바레트식도, 연하곤란, 다른 식도질환, 위염, 십이지장염 또는 궤양과 같은 상부 위장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때때로 출혈과 함께 식도염, 식도궤양, 식도미란과 같은 식도 이상반응이 보고된 바 있으며, 드물게 식도폐색 또는 천공으로 발전하였다. 일부 환자에서는 증상이 심하여 입원을 요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의사는 식도 반응의 조짐을 보이는 모든 증상 및 증후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환자에게 연하곤란, 연하통 또는 흉골후방의 통증, 속쓰림의 발생 또는 악화와 같은 증상이 있을 경우 복용을 중지시키고 의사와 상의하도록 지시해야 한다. 이 약을 복용한 후 누워 있거나, 이 약을 충분한 양의 물(170 ∼ 230 mL)과 함께 복용하지 않았거나, 식도자극의 증상이 나타난 후에도 계속해서 이 약을 복용한 환자에서 심각한 식도 이상반응의 위험은 훨씬 커진다. 그러므로 용법·용량을 환자에게 잘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용법·용량 참조). 정신적 장애로 지시된 용법을 따르지 못하는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치료는 적절한 지도감독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의 시판 후 조사에서 일부 중증의 합병증을 수반한 위궤양 및 십이지장 궤양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대조임상시험에서는 이러한 위험성의 증가가 확인되지 않았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식도협착 또는 무이완증과 같이 식도 배출을 지연시키는 식도이상 환자 2) 적어도 30분 동안 똑바로 앉거나 서 있을 수 없는 환자 3)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4) 저칼슘혈증 환자(4. 일반적 주의 참조) 5) 중증 신부전 환자(크레아티닌청소율 < 35 mL/min) 6)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및 수유부 7)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유당 함유 제제 한함) 3. 이상반응 1) 최대 5년까지 진행된 임상시험들에서 나타난 이 약에 의한 이상반응은 일반적으로 경미하였으며, 치료 중지가 필요하지는 않았다. 이 약의 안전성은 임상시험에서 약 8,000명의 폐경 후 여성에서 평가되었다. 2)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골다공증 치료 임상시험에서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1 %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임상시험 이상반응 미국/여러나라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골절 임상시험 (FIT) 이 약* % (196명) 위약 % (397명) 이 약** % (3,236명) 위약 % (3,223명) 소화기계 복통 6.6 4.8 1.5 1.5 구역 3.6 4.0 1.1 1.5 소화불량 3.6 3.5 1.1 1.2 변비 3.1 1.8 0.0 0.2 설사 3.1 1.8 0.6 0.3 방귀 2.6 0.5 0.2 0.3 위산 역류 2.0 4.3 1.1 0.9 식도 궤양 1.5 0.0 0.1 0.1 구토 1.0 1.5 0.2 0.3 연하곤란 1.0 0.0 0.1 0.1 복부 팽만 1.0 0.8 0.0 0.0 위염 0.5 1.3 0.6 0.7 근골격계 근골격(골, 근육 또는 관절) 통증 4.1 2.5 0.4 0.3 근경련 0.0 1.0 0.2 0.1 정신신경계 두통 2.6 1.5 0.2 0.2 어지럼 0.0 1.0 0.0 0.1 특수감각계 미각이상 0.5 1.0 0.1 0.0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골다공증 치료 임상시험에서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1 %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임상시험 이상반응 이 약 70 mg 1주 1회 % (519명) 이 약 10 mg 1일 1회 % (370명) 소화기계 복통 3.7 3.0 소화불량 2.7 2.2 위산역류 1.9 2.4 구역 1.9 2.4 복부팽만감 1.0 1.4 변비 0.8 1.6 방귀 0.4 1.6 위염 0.2 1.1 위궤양 0.0 1.1 근골격계 근골격계(뼈, 근육, 관절) 통증 2.9 3.2 근경련 0.2 1.1 3)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골다공증 임상시험에서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2 %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임상시험 이상반응 2년간의 임상시험 1년간의 임상시험 이 약 10 mg, 1일 1회 (%) (146명) 위약 (%) (95명) 이 약 70 mg, 1주 1회 (%) (109명) 위약 % (58명) 소화기계 위산역류 4.1 3.2 0.0 0.0 방귀 4.1 1.1 0.0 0.0 위식도역류병 0.7 3.2 2.8 0.0 소화불량 3.4 0.0 2.8 1.7 설사 1.4 1.1 2.8 0.0 복통 2.1 1.1 0.9 3.4 구역 2.1 0.0 0.0 0.0 4)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5 mg 제제에 한함.) 세 개의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40 ∼ 60세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 약 5 mg/day의 안전성이 평가되었다. 1,400명 이상의 환자들에게 이 약 5 mg/day을 2년 또는 3년간 무작위 배정한 본 시험에서 5 mg/day와 위약의 전체적인 안전성 프로필은 유사했다. 이상반응 발생에 의해 치료를 중지한 경우는 5 mg/day를 투여받은 환자 642명 중 7.5 %였고, 위약으로 치료받은 환자 648명 중 5.7 %였다. 1년간의 이중맹검, 다기관 임상시험에서 이 약 35 mg 1주 1회와 5 mg/day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내약성 프로필은 유사하였다.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골다공증 예방 시험에서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1 % 이상의 이상반응 임상시험 이상반응 2년/3년간의 임상시험 1년간의 임상시험 이 약 5 mg/day (%) (642명) 위약 (%) (648명) 이 약 5 mg/day (%) (361명) 이 약 35 mg (%) (362명) 소화기계 소화불량 복부 통증 위산 역류 구역 설사 변비 복부 팽만 1.9 1.7 1.4 1.4 1.1 0.9 0.2 1.4 3.4 2.5 1.4 1.7 0.5 0.3 2.2 4.2 4.2 2.5 1.1 1.7 1.4 1.7 2.2 4.7 1.4 0.6 0.3 1.1 근골격계 근골격(골, 근육 또는 관절) 통증 0.8 0.9 1.9 2.2 다음 표는 이 약 35 mg와 5 mg/day 투여 후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1 % 이상의 이상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5)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한 골다공증 치료(5, 10 mg 제제에 한함.)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두 개의 위약대조, 이중맹검, 다기관 임상시험을 1년간 실시한 결과 이 약 5 mg, 10 mg/day의 전반적인 안전성과 내약성은 위약과 유사하였다. 다음 표는 이 약 5 mg, 10 mg/day 또는 위약 투여 후 1 % 이상의 환자에서 연구자에 의해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이상반응을 나타낸 것이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년간의 임상시험에서 연구자가 약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거나, 상당히 관련이 있거나, 또는 명확히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 1 % 이상의 환자에서 보고된 이상반응 임상시험 이상반응 이 약 10 mg/day (%) (157명) 이 약 5 mg/day (%) (161명) 위약 (%) (159명) 소화기계 복통 3.2 1.9 0.0 위산역류 2.5 1.9 1.3 변비 1.3 0.6 0.0 흑색변 1.3 0.0 0.0 구역 0.6 1.2 0.6 설사 0.0 0.0 1.3 정신신경계 두통 0.6 0.0 1.3 이 연구에서 2년째 치료를 유지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인한 골다공증환자(이 약 147명)의 전반적인 안전성 및 내약성 프로필은 1년째 보고된 것과 유사하였다. 6) 외국에서의 시판후 조사 : 다음 이상반응이 외국의 시판후 사용에서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1) 일반사항 2)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정보 1) 에스트로겐/호르몬대체요법(HRT)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을 대상으로 1년 또는 2년간 실시된 2개의 임상시험에서 이 약 10 mg과 호르몬대체요법(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을 병용투여하였을 때 안전성과 내약성 프로필은 각각의 약물 단독투여시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골전환율(bone turnover)의 억제정도는 이 약과 호르몬 대체요법의 병용투여시 각각의 약물 단독투여시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약과 호르몬대체요법 병용투여의 골절 발생률에 대한 장기 효과는 연구되어지지 않았다. 2) 칼슘보충제/제산제 칼슘보충제나 제산제 및 일부 경구용 약물들은 이 약의 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 약 복용 후 적어도 30분의 간격을 두고 다른 약물을 복용해야 한다. 3) 아스피린 임상시험에서 이 약 10 mg/day 이상과 아스피린 함유 약물을 병용하였을 경우 상부위장관 이상반응 발생이 증가되었다. 4)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 이 약은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를 투여중인 환자에 투여할 수 있다. 시험기간중 다수의 환자가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와의 병용투여를 받은 3년 동안의 대조임상시험(2,027명)에서 상부위장관 이상반응 발현은 위약을 투여받은 환자와 이 약 5 mg/day 또는 10 mg/day를 투여받은 환자군이 유사했다. 그러나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의 사용은 위장관 자극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 약과 동시 복용시에는 주의해야 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약이 모유 중으로 이행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약물들이 모유중으로 이행되므로 수유부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 및 18세 미만 청소년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골절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복용한 환자의 71 %(2,302명)가 65세 이상이었고, 17 %(550명)가 75세 이상의 고령자였다. 미국 및 여러나라에서 실시한 여성 골다공증 임상시험 및 남성 골다공증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복용한 환자의 각각 45 %, 54 %가 65세 이상의 고령자였다.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이들 고령환자와 젊은환자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고령환자에서 나타난 이 약에 대한 더 큰 감수성은 무시되어서는 안된다. 9. 임상검사치에 대한 영향 이중맹검, 다기관, 대조임상시험에서 무증상의 경미하고 일시적인 혈청 칼슘과 인산염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 약 투여군에서는 각각 환자의 18 %, 10 %에서, 위약 투여군에서는 각각 12 %, 3 %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두 시험군에서 8.0 mg/dL(2.0 mM) 미만으로 혈청 칼슘이 감소하거나, 2.0 mg/dL(0.65 mM) 이하로 혈청 인산염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는 유사하였다. 10. 과량투여 1) 암컷랫트에 552 mg/kg(3,256 mg/m2), 암컷마우스에 966 mg/kg (2,898 mg/m2)을 1회 경구투여후 유의한 치사율이 관찰되었다. 수컷의 경우 이 수치가 약간 더 높았는데 각각 626, 1,280 mg/kg으로 나타났다. 개에서는 200 mg/kg(4,000 mg/m2)까지 경구투여시 치사한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이 약 과량 복용시의 특별한 처치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과량을 경구복용시에 저칼슘혈증, 저인산염혈증, 배탈, 가슴앓이, 식도염, 위염, 궤양 등의 상부위장관 이상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약과 결합할 수 있는 우유나 제산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식도자극의 위험이 있으므로 구토를 유도해서는 안되며 환자는 직립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3) 투석은 효과적이지 않다. 11.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12. 기타 발암성, 변이원성, 생식독성 1) 이 약을 수컷 마우스에 1, 3, 10 mg/kg/day를, 암컷에 1, 2, 5 mg/ kg/day를 92주간 투여한 발암성 실험결과 고용량을 투여받은 암컷 마우스에서 Harderian gland(인간에는 없는 retro-orbital gland)선종이 증가하였다(p = 0.003). 이 용량은 체표면적당 용량(mg/m2)으로 환산시 인체투여용량(10 mg)의 0.5 ∼ 4배에 해당한다. 이 시험결과의 인간과의 관련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1, 3.75 mg/kg을 투여한 2년간의 발암성 시험에서 고용량을 투여받은 수컷 랫트에서 갑상샘종이 증가하였다(p = 0.003). 이 용량은 체표면적당 용량(mg/m2)으로 환산시 인체 투여용량(10 mg)의 1배 및 3배에 해당한다. 2) 시험관에서의 포유류 세포의 돌연변이 분석, 시험관에서의 랫트 간세포의 알카린 추출분석, 마우스 생체내에서의 염색체 이상분석, 시험관에서의 미생물 돌연변이분석(대사활성이 존재할 경우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서 이 약은 유전독성이 없었다. 그러나 중국산 햄스터의 난소세포로 실험한 시험관에서의 염색체 이상분석 결과, 거짓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3) 이 약은 경구투여시 5 mg/kg/day(체표면적당 용량으로 환산시 인체 투여용량인 10mg의 4배, mg/m2)까지 랫트(임부)의 수태능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5. 상호작용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