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이상반응 봄철각결막환자 86명 중, 이상반응은 55명(64.0%)에서 나타났다. 주요 이상반응은 눈의 이상감각(작열감, 이물감, 위화감) 38명(44.2%), 눈 부위 자극 18명(20.9%), 눈물량 증가 10명(11.6%)이었다 빈도 5%이상 0.1~5%미만 빈도 불명 과민증주) 접촉 피부염 눈주) (40%이상) 눈의 이상감각(작열감, 이물감, 위화감) (20~40%미만) 눈부위 자극 (10~20%미만) 눈물량 증가 눈의 피로, 눈 건조, 눈곱, 눈 통증, 눈 충혈, 눈부심, 점상각막염 눈가려움, 눈부위 불쾌감, 상부 눈꺼풀중압감, 눈꺼풀가려움, 눈꺼풀부종, 눈꺼풀염, 산립종, 마이봄샘염, 결막충혈, 결막부종, 결막염, 결막미란, 결막침착물, 각막미란, 각막궤양, 각막혼탁, 전방플레어, 전방내세포, 섬휘성융해, 시야흐림, 시력저하, 녹내장 악화, 안압상승 호흡기주) 인후 자극감, 인후통, 인두 감각 둔화 코 불쾌감 감염주) 헤르페스각막염, 눈꺼풀헤르페스 농가진, 맥립종, 세균성 결막염, 단순헤르페스결막염, 유행성각결막염, 세균성각막염 기타주) 열감(안면), 호중구 감소, 단구 증가 손가락의 마비감, AST(GOT) 증가, γ-GTP 증가, LDH 증가, 백혈구 수 증가, 백혈구 수 감소, 호중구 증가, 림프구 감소, 혈중 요산 증가 이 약(0.1% 농도) 1 일 2 회 투여 임상시험결과에 따라 기재했다. 그러나 「빈도 불명」은 최대 5 년의 장기 투여 시험을 포함한 다른 용법에서의 시험 (0.01 % 농도 제제와 0.03 % 농도 제제에 의한 시험, 1 일 2 회 이상 투여가 이루어진 시험) 및 국외 사용 성적 조사에서 나타난 이상반응을 기재했다. 주) 이상반응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히 처치한다. 3. 일반적 주의 1) 이 약은 봄철각결막염 치료 경험이 풍부한 안과의가 처방하도록 한다. 2) 눈꺼풀 결막에 거대 유두 증식이 있고 항알레르기제에 의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3) 이 약의 투여로 인해 감염이 발현 또는 악화될 수 있고, 다른 면역 억제 작용을 갖는 약물과 병용 시 그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한다. 4) 사용 후 작열감, 눈부위 자극 등이 빈번하게 나타나므로 해당 이상반응을 미리 환자에게 설명한다. 5) 이 약을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관찰하면서 투약한다. 또한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6) 녹내장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안압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 중에는 정기적으로 안압 검사를 실시한다. 7) 점안 시 일시적인 시야 혼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시야가 선명해질 때까지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임부, 수유부에 대한 투여 5. 소아에 대한 투여 미숙아, 신생아, 유아 등 6세 미만의 소아는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사용 경험이 없다.). 6.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 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주의한다. 7. 적용상의 주의 2) 점안 후 1~5분간 눈을 감고 비루관을 눌러준다. 8.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가. 약리작용 1) 흰자 알부민 유발 지발형(I형) 알레르기성 결막염 랫트 모델에 타크로리무스 점안시 결막의 호산구 및 T세포의 증가를 억제했다. 2) 투베르쿨린 유발 지연형(IV형) 알레르기성 결막염 토끼 모델에 타크로리무스 점안시 결막 충혈 및 부종의 발병을 억제했다. 3) 작용기전 in vitro 시험에서 타크로리무스는 칼시뉴린 저해 작용을 통해 인간 말초혈 유래 단핵구의 사이토카인(IL-2, IL-4, IL-5, IFN-γ) 생산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IC50값: 0.02~0.11ng/mL). 나. 약동학적 정보 1) 건강한 성인 남성 7명의 한쪽 눈에 이 약을 1방울 단회 점안했을 때 모든 예에서 타크로리무스가 검출되고, Cmax는 0.086~0.23ng/mL, tmax는 1 또는 3시간이었다. 24시간 이후에는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정량한계 0.05ng/mL) 2) 건강한 성인 남성 7명의 양쪽 눈에 이 약을 1회 1방울, 4시간 간격으로 1일 4회, 10일간 반복점안했을 때 전혈 중 농도로부터 산출한 약동학 파라미터는 표1과 같았다. AUC 및 Cmax는 7일과 10일에 큰 차이가 없었고 7일에 정상 상태에 도달했다. 표1. 반복 점안 시 약동학 파라미터 측정 시기 측정 예수 Cmax (ng/mL) tmax* (h) AUC** (ngh/mL) t1/2 (h) 제1일 7 0.41±0.22 13±5 6.20±3.57 - 제7일 7 1.04±0.54 9±4 20.47±10.21 - 제10일 7 1.15±0.67 11±6 22.49±12.68 35.2±14.9 * : 각 시기의 제1회 점안 후의 시간. 제1회 점안 후 13, 9, 11시간은 각각 제4회 점안 후 1시간, 제3회 점안 후 1시간, 제3회 점안 후 3시간에 해당 **: 제1일, 제7일 및 제10일의 AUC는 각각 AUC0-23h, AUC-1-23h, AUC-1-24h. ※ 이 약의 승인된 용법용량에 대해서는 [용법용량]을 참조한다. 측정시기 측정예수 혈중농도(ng/mL) 평균±S.D. 최소~최대값 1주 후 2 0.315±0.445 nd~0.63 2주 후 56 0.219±0.367 nd~1.34 4주 후 53 0.297±0.446 nd~1.36 4) 봄철각결막염 환자에게 이 약을 1회 1방울, 1일 2회, 약 12주(70~97일) 점안했을 때의 혈중농도는 다음과 같다 측정시기 측정예수 혈중농도(ng/mL) 평균±S.D 최소~최대값 4주 후 50 0.286±0.485 nd~1.69 12주 후 51 0.305±0.525 nd~1.83 투여종료 시 51 0.305±0.525 nd~1.83 5) 혈중농도(토끼) 토끼의 한쪽 눈에 이 약을 단회 점안했을 때 전혈 중 AUC0-24h와 정맥 투여 시 AUC0-24h를 비교 시 혈중 이행율은 11.1%였다. 6) 눈 조직 내 이행(토끼) 토끼의 한쪽 눈에 타크로리무스 점안제 0.1%(이 약), 0.3% 또는 1.0%를 1방울 단회 점안했을 때 눈 조직 내 타크로리무스 농도는 투여량의 증가와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결막과 각막에 높은 분포를 보였다. 토끼의 한쪽 눈에 타크로리무스 점안제 0.3%를 1회 1방울, 3시간 간격으로 1일 4회, 14일간 반복 점안했을 때 눈 조직 내의 농도는 수정체 이외의 조직에서는 7일내에 거의 정상 상태에 도달했다. 수정체에 대해서는 별도로 실시한 6개월간 반복 점안 시험에서 3개월내에 거의 정상 상태에 도달했다. 다. 임상시험 정보 항알레르기 점안액의 효과가 불충분한 봄철각결막염 환자(6세 이상)를 대상으로 실시한 위약대조 이중맹검 군간 비교 시험에서 위약군에 비해 유의한 임상 소견 총 점수※의 개선이 인정되었다. ※ : 안검결막충혈, 안검결막부종, 안검결막여포, 안검결막유두, 안검결막거대유두, 안구결막충혈, 안구결막부종, 윤부트란타스반점, 윤부종창 및 각막상피의 중증도 점수의 총합
(평균±S.D.)
nd: 정량한계(0.50ng/mL) 미만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