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포르민염산염, 분량 : 1000,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알로글립틴벤조산염, 분량 : 17, 단위 : 밀리그램,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이 약의 초기 용량은 환자의 현재 치료요법에 따라 결정한다. 이 약은 메트포르민 사용과 관련한 위장관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 1일 1회 되도록 저녁식사와 함께 복용하고, 메트포르민염산염의 용량 증가는 서서히 진행되어야 한다. 서방성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약은 쪼개거나 부수거나 갈거나 씹지 말고 삼켜야 한다. 이 약이 불완전하게 용해되어 대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 대변으로 배설된 물질에 약물의 주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만약 환자가 이 약이 대변 중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을 반복적으로 보고할 경우, 의료진은 혈당이 적절히 조절되고 있는지 평가하여야 한다(사용상의 주의사항, 5. 일반적 주의 항 참조). 이 약 25/1000mg 서방정은 1일 1회, 1회 1정을 복용한다. 이 약 12.5/1000mg 또는 12.5/500mg 서방정을 복용하는 환자는 1일 1회, 1회 2정을 동시에 복용한다. 1. 현재 메트포르민으로 치료받고 있지 않은 경우 이 약의 초기 용량은 1일 총량으로 알로글립틴 25mg 및 메트포르민염산염 1000mg이다. 초기용량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경우, 메트포르민의 위장관계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1일 최고 권장용량인 2000mg까지 점진적으로 용량을 증량할 수 있다 2. 메트포르민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초기용량은 환자의 현재 치료요법에 따라 알로글립틴 1일 총량 25mg과 메트포르민염산염 기존 투여 용량이다. - 메트포르민과 피오글리타존 병용요법 또는 메트포르민과 인슐린 병용요법으로 충분한 혈당조절을 할 수 없는 환자에 대한 이 약의 초기용량은 알로글립틴 1일 총량 25mg이며, 메트포르민염산염의 초기용량은 환자의 혈당치와 기존 투여용량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 약을 인슐린과 병용투여할 때, 저혈당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인슐린 용량의 감소가 필요할 수 있다(사용상의 주의사항 5. 일반적 주의 항 참조). - 메트포르민 속방성 제제에서 서방성 제제로의 전환 시 혈당조절은 긴밀히 모니터링 되어야 하며, 필요한 경우 용량 조절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한다. -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의 병용요법의 대체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의 병용요법에서 이 약으로 전환하는 경우, 이 약의 용량은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염산염 기존 투여용량이다. 신장애 환자 신기능에 따른 용량조절이 필요하므로, 이 약 투여 전 및 투여 후 주기적으로 신장기능의 평가가 권장된다. 경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60mL/min)에서는 이 약의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다. 크레아틴 청소율이 45mL/min 이상 60mL/min 미만인 중등도 신장애 환자(CKD stage 3A)에서 유산산증 위험을 증가시킬 만한 다른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용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알로글립틴의 1일 투여 용량은 12.5mg이다. - 서방성 메트포르민염산염의 시작용량은 1일 1회 500mg 또는 750mg이며, 1일 최대 용량은 1000mg이다.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45mL/min 미만으로 저하되는 경우 이 약 투여를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
메트포르민염산염 심한 유산산증 또는 저혈당증을 일으킬 수 있다. 유산산증으로 인한 사망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의 주성분인 알로글립틴 및/또는 메트포르민염산염, 비구아니드계 약물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아나필락시스, 맥관부종 또는 중증의 피부 이상반응과 같은 중대한 과민 반응이 있거나 그 병력이 있는 환자 2) 중등도(stage3b) 및 중증의 신장애 환자(크레아티닌 청소율 <45ml/min 또는 사구체 여과율 <45ml/min/1.73m2), 심혈관계 허탈(쇼크), 급성 심근 경색, 패혈증과 같은 질병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장질환이나 신기능부전 (예,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남성의 경우 1.5mg/dl 이상, 여성의 경우 1.4mg/dl 이상 또는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비정상인) 환자 3) 급성 및 불안정형 심부전 환자 4) 방사선 요오드 조영물질을 정맥내 투여하는 검사(예 : 정맥요로조영술, 정맥담관조영술, 혈관조영술, 조영제를 사용한 컴퓨터단층촬영술 등)를 받는 환자(급성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고, 메트포르민염삼염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는 유산산증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사가 계획된 환자 중 사구체여과율>60ml/min/1.73m2인 경우는 적어도 검사 시점 또는 사전에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해야 하고, 48시간 이내에는 재투여가 불가능하다. 신기능 재평가 후 추가 손상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중등도 신장애 환자의 경우(사구체여과율 45~60ml/min/1.73m2), 이 약은 요오드화 조영제 투여 48시간 전 반드시 중단되어야 하며 48시간 이내에는 재투여가 불가능하다. 신기능 재평가 후 추가 손상 위험이 없을 것으로 판명된 이후에만 치료를 재개한다.) 5) 제 1형 당뇨병, 유산산증, 혼수를 수반하거나 그렇지 않은 당뇨병케톤산증을 포함하는 급성 또는 만성 대사성산증 환자 및 케톤산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제 1형 당뇨병과 당뇨병케톤산증은 인슐린으로 치료한다.] 6) 당뇨병성 전혼수 7) 중증감염증, 수술전후, 중등도의 외상이 있는 환자 (인슐린 주사에 의해 혈당관리가 필요하므로 이 약의 투여는 적절하지 않다.) 8) 수술 과정의 경우에(음식과 수액의 섭취에 제한이 없는 가벼운 수술은 제외) 이 약은 수술 48시간 전에 일시적으로 중지되어야 하고, 최소 48시간이 지난 후 신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명된 후에 치료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9) 영양불량상태, 기아상태, 쇠약상태, 뇌하수체기능부전 또는 부신기능부전 환자 10) 간 기능장애(손상된 간 기능은 유산산증의 몇몇 경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으로 간 질환의 증거가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 폐경색, 중증의 폐기능장애 환자 및 기타 저산소혈증을 수반하기 쉬운 상태, 과도한 알코올 섭취자, 탈수증, 설사, 구토 등의 위장장애 환자 11) 태반 기능 부전, 자간전증 및 자궁 내 성장지연 위험이 있는 임신부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항 참조)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다음의 환자 또는 상태(유산산증과 저혈당의 가능성이 있다.) 2) 심부전 : 알로글립틴은 New York Heart Association(NYHA) functional class III-IV 환자에서의 임상경험이 없기 때문에 이 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다. 4. 이상반응 1) 임상시험 임상시험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실시되므로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이상반응 발생률은 다른 약물의 임상시험에서의 비율과 직접적으로 비교될 수 없으며, 실제 사용환경 하에서 관찰된 비율을 반영할 수 없다. 환자수 (%) 알로글립틴+메트포르민* 알로글립틴† 메트포르민‡ 위약 N=2794 N=222 N=1592 N=106 상기도 감염 224 (8.0) 6 (2.7) 105 (6.6) 3 (2.8) 비인두염 191 (6.8) 7 (3.2) 93 (5.8) 2 (1.9) 설사 155 (5.5) 4 (1.8) 105 (6.6) 3 (2.8) 고혈압 154 (5.5) 5 (2.3) 96 (6.0) 6 (5.7) 두통 149 (5.3) 11 (5.0) 74 (4.6) 3 (2.8) 요통 119 (4.3) 1 (0.5) 72 (4.5) 1 (0.9) 요로 감염 116 (4.2) 4 (1.8) 59 (3.7) 2 (1.9) 환자수(%) 알로글립틴 25mg N=5902 위약 N=2926 활성대조약 N=2257 비인두염 257(4.4) 89(3.0) 113(5.0) 두통 247(4.2) 72(2.5) 121(5.4) 상기도감염 247(4.2) 61(2.1) 113(5.0) 이상반응 메트포르민 단일 요법 (n=141) 위약 (n=145) 환자비율 % 설사 53.2 11.7 구역/구토 25.5 8.3 고창 12.1 5.5 무력증 9.2 5.5 소화불량 7.1 4.1 복부 불쾌감 6.4 4.8 두통 5.7 4.8 3) 외국에서의 시판 후 조사 알로글립틴 다음의 이상반응들이 미국 외 지역에서 시판 후 사용 중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상반응들은 규정된 규모가 아닌 집단에서 자발적으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항상 그 빈도를 예측하거나 약물 노출과의 가능한 인과관계를 확립하는 것은 가능하지는 않다.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발진, 두드러기 그리고 스티븐스-존슨 증후군을 포함한 심각한 피부이상반응을 포함하는 과민반응; 유사천포창; 간효소 수치 상승; 전격간부전;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 그리고 급성 췌장염, 장폐색증, 간질성신세뇨관염 등 4)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알로글립틴>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년 동안 3,1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9.71%(304/3,131명, 총 414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 및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 1.18%(37/3,131명, 48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 0.16%(5/3,131명, 6건) 드물게(0.1%미만) 근육-골격계 장애 건초염, 골절, 늑연골염, 다리골절, 상지골절, 척추골절, 횡문근융해 위장관계 장애 급성췌장염, 설사, 위궤양, 위염악화, 출혈성위궤양, 충수돌기염 충수돌기염 대사 및 영양 질환 고혈당증, 당뇨병악화, 산증 당뇨병악화 방어기전 장애 농양, 감염, 상처결손 신생물 갑상샘암종, 폐암, 폐암종 폐암 전신적 질환 가슴불편감, 요통, 전신부종, 전신쇠약 전신부종 호흡기계 질환 호흡곤란, 천식악화, 폐렴악화, 호흡멈춤 비뇨기계 질환 급성신부전, 신결석, 신기능이상 간 및 담도계 질환 간경변, 담석증 심근, 심내막, 심막, 판막 질환 심근경색증, 협심증 정신질환 식욕부진 혈관 질환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기타 용어 열상 심장 박동 장애 심방세동악화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구어장애 또한,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다음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8.88%(278/3,131명, 376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2.01%(63/3,131명, 81건) 드물게(0.1%미만) 위장관계 장애 구내염, 복통, 역류성식도염, 위식도역류, 위장장애, 위축성위염, 음식과관계없는명치통증, 장염, 가슴쓰림, 복부불쾌감, 복부팽만, 상복부통, 소화궤양, 위궤양, 위장관통증, 위장염, 입마름, 출혈성위궤양, 충수돌기염, 치주염, 치통, 트림, 항문열창, 혈변, 흑색변 변비, 위염악화, 메스꺼움, 오심, 위식도역류, 위장장애, 위축성위염, 음식과관계없는명치통증, 충수돌기염, 항문열창 호흡기계 질환 비염, 천식, 가래증가, 객혈, 기관지연축, 마른기침, 만성폐쇄성기도질환, 목구멍자극, 부비동염, 숨참, 인후통, 천식악화, 편도선염, 폐렴악화, 호흡곤란악화, 호흡멈춤 가래질환, 기관지염, 콧물, 천식, 만성폐쇄성기도질환, 편도선염, 호흡곤란악화 대사 및 영양 질환 비타민D결핍, 트리글리세라이드증가, CPK증가, 고중성지방혈증, 고칼륨혈증, 산증, 안구건조증, 통풍, 혈당치증가 고혈당증, 고지혈증, 당뇨합병증, 당뇨병악화, 안구건조증, 혈당치증가 전신적 질환 가슴불편감, 다리통증, 발열, 부종, 전신부종, 피로, 가슴불편함, 골반통, 다리부종, 등통증악화, 무력증, 엉치엉덩통증, 옆구리통증, 요통, 전신쇠약, 통증, 팔부기, 흉통악화 발열, 부종, 전신부종, 피로, 엉치엉덩통증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구어장애, 피부저림, 감각이상, 넙다리감각이상증, 대변실금, 떨림, 무감각, 신경병증통증, 척추관협착, 편마비, 피부감각이상, 현기증 어지러움, 현훈(vertigo) 근육-골격계 장애 인대장애, 갈비뼈골절, 건초염, 골절, 관절통증, 근섬유통, 근육경련, 근육통, 늑연골염, 다리골절, 다리힘없음증, 몸살, 방아쇠손가락증, 상지골절, 족저근막염, 척추골절, 횡문근융해, 힘줄파열 관절증, 다리힘없음증, 몸살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소양증, 접촉성피부염, 가려움, 각화증, 경화, 땀증가, 손발톱질환, 외이염, 장미색잔비늘증, 장미증, 접촉피부염, 종기증, 지루성피부염 소양증 시각장애 결막염, 녹내장, 황반변성, 백내장, 각막염, 망막병, 망막장애, 망막질환 당뇨병성망막병증, 망막질환 비뇨기계 질환 방광염, 신기능이상, 급성신부전, 방광염악화, 빈뇨, 신결석, 신경인성방광, 신낭종, 요도염, 혈뇨, 혈중크레아티닌증가 혈뇨 간 및 담도계 질환 담석증, 상세불명의간기능검사이상, 간경변, 담도경화, 지방간 AST증가, ALT증가 방어기전 장애 농양, 대상포진, 감염, 그람음성세균감염, 상처결손, 입술헤르페스, 헤르페스바이러스감염 대상포진 생식기능 장애(남성) 전립선비대 양성전립선비대증 정신질환 식욕부진, 우울증, 과민성, 발기기능장애, 불면증, 수면장애 우울증, 수면장애 일반적 심혈관 질환 기립성저혈압, 저혈압 청력 및 전정기관 장애 이명, 급성청력상실, 메니에르병, 상세불명의귀질환 이명, 메니에르병 신생물 갑상샘암종, 폐암, 폐암종 폐암 심근, 심내막, 심막, 판막 질환 관상동맥폐색, 심근경색증, 협심증, 협심증악화 기타 용어 백내장적출술, 열상, 찢긴상처 심장 박동 장애 서맥, 심계항진, 심방세동악화 심계항진 혈관 질환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죽상경화증 뇌경색, 일과성허혈발작 내분비 질환 갑상선기능저하증, 결절성갑상선 갑상선기능저하증 때때로(0.1~5%미만) 위장관계 장애 설사, 소화불량, 변비, 위염,위염악화, 메스꺼움, 오심, 구토 설사, 위염, 구토 호흡기계 질환 기침, 가래질환, 기관지염, 비인두염, 콧물, 폐렴, 호흡곤란 대사 및 영양 질환 고혈당증, 고지혈증, 당뇨합병증, 당뇨병악화, 이상지질혈증, 중성지방증가 전신적 질환 효과부족, 가슴통증, 허리통증 효과부족 중추 및 말초신경계 장애 어지러움, 현훈(vertigo), 뇌장애 근육-골격계 장애 관절통, 목/어깨통증, 관절증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가려움증 가려움증 시각장애 당뇨병성망막병증 간 및 담도계 질환 ALT증가, AST 증가 생식기능 장애(남성) 양성전립선비대증 일반적 심혈관 질환 고혈압 <알로글립팁 및 메트포르민(속방형)>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판 후 조사 결과, 이상사례의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6.49%(40/616명, 총 46건)로 보고되었다. 이 중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는 발현 빈도에 따라 아래 표에 나열하였으며,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중대한 이상사례 0.16%(1/616명, 1건) 때때로(0.1~5%미만) 호흡기계 질환 폐렴 또한,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와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현 빈도에 따라 다음의 표에 나열하였다. 인과관계와 상관없는 예상하지 못한 이상사례 4.71%(29/616명, 33건)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 2.44%(15/616명, 15건) 때때로(0.1~5%미만) 전신적 질환 효과부족, 전신쇠약, 가슴통증, 다리통증 효과부족 위장관계 장애 하복부통, 변비, 위염악화, 위염, 위식도역류, 가슴쓰림 변비, 위염악화, 위식도역류, 가슴쓰림 대사 및 영양 질환 이상지질혈증, 혈당증가, 고혈당증, 고지혈증 혈당증가, 고혈당증 호흡기계 질환 인두염, 폐렴 정신질환 식욕부진, 불면증 피부와 부속기관 장애 가려움, 피부낭종 심장 박동 장애 심방세동 근육-골격계 장애 목/어깨통증 비뇨기계 질환 신경인성방광 5. 일반적 주의 1) 유산산증: 유산산증은 매우 드물지만, 이 약의 치료중 메트포르민이 축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대사성 합병증이다.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는 50%가 치명적이다. 유산산증은 급성신기능악화, 심폐 질환 및 패혈증 상태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유산산증은 조직의 유의한 관류저하와 저산소증이 있을 때, 당뇨병을 포함하는 병리생리학적 상태와 결부되어 나타날 수 있다. 유산산증은 혈중 젖산 농도 증가(5 mmol/L 초과), 혈중 pH저하, 음이온 간의 차이 가 늘어나는 전해질 불균형과 젖산/피루브산염의 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트포르민이 유산산증의 원인이라고 여겨지는 경우, 메트포르민의 혈중농도는 일반적으로 5 ㎍/mL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에 있어서 유산산증의 발현에 대한 보고는 매우 적다(연간 환자 1,000명당 약 0.03건, 치명적인 경우는 연간 환자 1,000명당 약 0.015건). 보고된 경우는 주로 많은 내ㆍ외과적인 문제가 병합된 경우와 많은 약물의 복합투여 등의 상태에서, 내인적 신장질환과 신장 관류저하를 포함하는 신기능이 유의하게 저하된 당뇨병 환자에서 일차적으로 발생된 것이다. 유산산증의 위험은 신기능 저하의 정도와 환자의 나이에 따라 증가된다. 덧붙여 메트포르민은 저산소증, 탈수, 패혈증과 관계된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각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간기능이 손상된 경우 젖산 배설능력이 유의적으로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간질환의 임상적 또는 실험실적 소견이 있는 환자의 경우 메트포르민을 투여하지 않는다. 알코올은 메트포르민이 젖산대사에 영향을 미치게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는 동안 급ㆍ만성적인 알코올의 과량섭취는 피해야 한다. 유산산증의 시작은 때때로 구별이 어렵고 권태, 근육통, 호흡곤란, 무력증과 복부 통증과 같은 비특이적 증상들을 수반한다. 산증이 더 심해질 경우 체온저하, 저혈압과 저항성 서맥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환자와 의사는 이러한 증상들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며, 환자는 만약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에게 즉시 알려야 한다. 혈청 전해질, 케톤, 혈당, 혈중 pH(<7.35), 젖산농도와 이 약의 혈중 농도도 유산산증을 확인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유산산증의 의심이 큰 경우에는 젖산의 측정결과를 기대할 것 없이 필요한 처치를 한다. 특히, 투여 개시 초기 투여량을 증가한 경우에는 유산산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치료 초기에 환자가 메트포르민의 특정 용량에서 안정화되면 흔히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나, 후기에 나타나는 위장관 증상은 유산산증이나 다른 심각한 질병 때문일 수 있다. 메트포르민을 투여 받은 환자의 공복 시 정맥 혈장의 젖산 농도가 정상상한치 이상이지만 5 mmol/L이하인 경우, 유산산증이 임박했다는 것을 나타내지 않으며, 잘 조절되지 않은 당뇨병이나 비만, 지나친 육체활동 또는 검체를 다루는데 있어 기술적인 문제와 같은 다른 기전에 기인할 수 있다. 유산산증은 케톤산증(케톤뇨증과 케톤혈증)의 증거가 없는 대사성 산증이 나타나는 당뇨환자에서 의심해야 한다. 유산산증은 입원치료를 요하는 내과적 응급상황이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에서 유산산증이 일어난 경우, 약물을 즉시 투여 중지하고 즉각 일반적인 보조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이 약은 투석이 가능하기 때문에(양호한 혈역학적 조건에서 170 mL/분에 이르는 청소율), 산증을 정상화하고 축적된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즉각적인 혈액 투석이 추천된다. 이러한 처치는 때때로 즉각적인 증상 호전과 회복을 가져온다. 2) 췌장염: 알로글립틴을 복용한 환자에서 급성 췌장염에 대한 시판 후 조사 보고가 있었다. 이 약을 복용 시작 후, 환자들은 췌장염의 징후와 증상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되어야 한다. 만약 췌장염이 의심된다며 이 약의 복용은 신속하게 중단되어야 하고 적절한 조치가 시작되어야 한다. 이 약 사용 중 췌장염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증상의 악화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3) 과민반응: 시판 후 알로글립틴을 투여한 환자에서 중증의 과민반응이 보고되었으며, 이 반응은 아나필락시스, 혈관부종 및 스티븐스-존슨증후군을 포함한 중증의 피부질환을 포함한다. 만약 심각한 과민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발생의 다른 잠재적인 이유를 평가하고 다른 당뇨 치료요법을 실시한다. 다른 DPP-4 저해제를 복용하였을 때 혈관부종이 발생하였던 환자들은 이 약의 투여 시 혈관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4) 간 기능에의 영향: 몇몇 보고서가 가능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불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알로글립틴을 투여한 환자에서 치명적, 비치명적 간부전이 발생하였다는 시판 후 조사 보고가 있었다. 무작위 대조 시험들에서 혈청 ALT가 정상치의 3배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알로글립틴 투여군에서 1.3%, 모든 대조군에서 1.5%. 2형 당뇨병 환자들은 간기능 검사를 비정상으로 나타나게 하는 지방간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치료 또는 관리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간질환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약을 처음 투여하는 환자에서 간기능 검사를 하는 것이 권고된다. 간기능이 비정상적인 환자에서는 신중히 투여한다. 간상해를 나타내는 피로, 식욕부진, 우상복부 불편, 흑색뇨 또는 황달 등의 증상이 확인된 환자는 즉시 간기능 검사를 실시한다. 임상적 측면에서 만일 환자에서 임상적으로 유의한 간효소 수치 상승이나 비정상적인 간기능 상태가 지속되거나 악화되었다면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가능한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간기능 이상이 다른 이유로 설명되지 않는다면 이러한 환자에게 이 약을 재투여 하여서는 안된다. 5) 신기능에 대한 모니터링: 메트포르민은 대부분 신장으로 배설되고, 메트포르민의 축적과 유산산증의 위험은 신기능의 장애 정도에 따라 증가된다. 따라서 나이에 따른 정상 상한치 이상의 혈청 크레아티닌 값을 갖는 환자는 이 약을 투여하면 안 된다. 이 약은 치료 시작 전과 그 후 적어도 1년에 1회는 신기능 검사를 하여 정상인지 확인하여야 한다. 정상치보다 낮은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환자 및 고령자는 적어도 1년에 2~4회는 신기능 검사를 확인하여야 한다. 크레아티닌 청소율<45ml/min 또는 사구체 여과율 <45ml/min/1.73m2)인 경우 이 약 투여를 중지한다. 탈수증상(심각하거나 지속적인 구토 또는 설사)이 있거나 신기능에 영향을 주는 약물 투여를 시작하는 경우 (고혈압 치료제 또는 이뇨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와 같은) 등 급격한 신기능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급성 상황에서는 즉시 그리고 일시적으로 메트포르민 투여를 중단해야 한다. 6) 방사선 검사 및 수술 : 정맥 내 요오드 조영제를 사용하는 방사선 검사 (예, 정맥 urogram, 정맥 cholangiography, 혈관조영술 및 전산 단층촬영술)는 신기능의 급성 변화를 나타낼 수 있고, 메트포르민을 투여하는 환자에서 유산 산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가 계획된 환자에서 이 약은 검사 시점 또는 검사 전 일시적으로 중단해야 하며, 검사 후 48시간 동안 중단하고, 신 기능을 재평가하여 정상으로 확인된 후에 다시 투여를 시작한다. 수술을 하는 경우 (단, 음식 및 음료의 제한과 관련이 없는 경미한 수술 제외), 이 약 투여를 일시 중단해야 하며, 환자의 경구 섭취가 재개될 때까지 그리고 신 기능이 정상으로 평가되면 다시 투여를 시작한다. 7) 저산소증 상태: 어떤 원인에 의한 심혈관계 허탈(쇽), 급성 울혈성심부전, 급성 심근경색과 저산소증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다른 조건은 유산산증과 연관되어 있으며 신전 질소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약의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이러한 반응이 일어나면 이약의 투여를 즉시 중단하여야 한다. 8) 알코올 섭취: 알코올은 유산 대사에 대해 메트포르민이 미치는 영향을 증대시키고 유산산증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급성 또는 만성적인 알코올의 과량섭취는 피해야 한다. 9) 비타민B12 수치: 혈청 비타민 B12 수치를 매년 모니터링하는 것을 권고한다. 낮은 비타민 B12 수치의 위험은 메트포르민 용량, 치료 기간 증가 및/또는 비타민 B12 결핍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 증가한다. 10) 저혈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약과의 병용투여 시: 알로글립틴 인슐린 및 설포닐우레아와 같은 혈당저하제는 저혈당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알로글립틴과 병용 사용 시 저혈당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슐린이나 다른 혈당저하제의 감량을 고려할 수 있다. 메트포르민 저혈당은 일반적인 사용 환경 하에서 메트포르민을 단독 투여한 환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나, 열량 섭취가 불충분한 경우, 격렬한 운동이 열량 섭취로 보충되지 못한 경우나 다른 혈당강하제(설포닐우레아, 인슐린, 메글리티나이드계 등) 또는 알코올을 병용 투여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 쇠약하거나 영양 불균형인 환자, 부신이나 뇌하수체 부전 환자 또는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저혈당이 나타나기 쉽다. 저혈당은 고령자, β-아드레날린 차단 약물을 투여하는 사람에서는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메트포르민의 투여에 의해 저혈당 증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설탕(자당)을 투여하며, α-글루코시다제 저해제(아카보즈, 보글리보스)와의 병용에 의해 저혈당 증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포도당을 투여한다. 11)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후 조사에서 중증 및 장애를 동반하는 관절통이 보고되었다. 약물 투여 이후 증상의 발생시기는 1일 후부터 수년 후까지 다양하였다. 약물 투여 중지 시에 증상은 완화되었다. 일부 환자에서는 동일한 약 혹은 다른 DPP-4 저해제를 다시 복용시에 증상의 재발이 나타났다. 중증관절통의 원인으로 DPP-4 저해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경우 투여를 중지한다. 12) 수포성 유사천포창 DPP-4 저해제를 복용한 환자의 시판 후 조사에서 입원을 필요로 하는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보고되었다.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DPP-4 저해제 투여중지 및 국소 또는 전신 면역억제제 치료로 회복되었다. 환자들에게 이 약을 복용하는 동안 수포 또는 짓무름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알려야 한다. 만약, 수포성 유사천포창이 의심되는 경우, 이 약을 중단하고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위해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13) 대혈관질환 합병증에 대한 결과: 이 약 또는 다른 경구혈당강하제가 대혈관질환 합병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증하는 임상시험은 없다. 14) 이 약은 부수거나 씹어먹지 말고 전체를 삼켜야 하며, 정제의 껍질이 대변을 통해 나올 수 있으므로 환자들에게 이것이 정상임을 미리 알려야 한다. (1) 알로글립틴/메트포르민염산염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와 메트포르민 1000mg 1일 2회 6일동안 병용투여한 결과 알로글립틴이나 메트포르민에 대해 유의한 약동학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이 약물에 대한 약동학적 약물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으나,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 각각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알로글립틴 병용투여 약물 다른 약물의 노출 비(Ratio) (90% CI) AUC Cmax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6일투여 신배설 메트포르민 1000mg 1일 2회, 6일투여 1.189 (1.095, 1.291) 1.004 (0.919, 1.097)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6일투여 신배설 시메티딘 400mg 1일 1회, 6일투여 1.043 (0.982, 1.107) 0.993 (0.907, 1.087)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7일투여 CYP1A2 기질 (R)-와파린 1일 1회, 7일투여 0.988 (0.942, 1.036) 0.986 (0.920, 1.056)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7일투여 CYP1A2 기질 Caffeine 200mg 단회투여 1.049 (0.925, 1.190) 0.976 (0.918, 1.037)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12일투여 CYP2C8 기질 피오글리타존 45mg 1일 1회, 12일투여 1.058 (0.975, 1.148) 1.051 (0.923, 1.197)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8일투여 CYP2C9 기질 글리부리드 5mg 단회투여 0.994 (0.931, 1.061) 1.154 (1.060, 1.256)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7일투여 CYP2C9 기질 (S)-와파린 1일 1회, 7일투여 1.011 (0.972, 1.051) 0.998 (0.921, 1.080)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7일투여 CYP2C9 기질 톨부타미드 500mg 단회투여 0.971 (0.931, 1.020) 0.996 (0.958, 1.035)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7일투여 CYP2D6 기질 덱스트로메토르판 30mg 단회투여 1.260 (1.078, 1.472) 1.320 (1.138, 1.531)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7일투여 CYP3A4 기질 아토르바스타틴 80mg 1일 1회, 7일투여 1.142 (1.014, 1.286) 1.127 (0.954, 1.330)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21일투여 CYP3A4 기질 에치닐에스트라디올 35mcg 1일 1회, 21일투여 0.986 (0.949, 1.024) 0.916 (0.868, 0.967)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21일투여 CYP3A4 기질 노르에친드론 1mg 1일 1회, 21일투여 1.025 (0.995, 1.056) 1.031 (0.977, 1.087)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7일투여 CYP3A4 기질 미다졸람 4mg 단회투여 1.076 (0.979, 1.182) 1.127 (1.017, 1.248)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10일투여 P-gp 기질 디곡신 0.2mg 1일 1회, 10일투여 0.997 (0.960, 1.036) 0.942 (0.852, 1.041)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7일투여 P-gp 기질 펙소페나딘 80mg 단회투여 1.321 (1.108, 1.574) 1.175 (0.954, 1.447) 병용투여 약물 알로글립틴 알로글립틴의 노출 비(Ratio) (90% CI) AUC Cmax 신배설 메트포르민 1000mg 1일 2회, 6일투여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6일투여 1.000 (0.972, 1.029) 0.895 (0.820, 0.977) 신배설 시메티딘 400mg 1일 1회, 6일투여 알로글립틴 100mg 1일 1회, 6일투여 1.065 (1.032, 1.099) 1.048 (0.984, 1.116) CYP2C8/9 억제제 겜피브로질 600mg 1일 2회, 7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단회투여 1.129 (1.092, 1.167) 0.847 (0.733, 0.980) CYP2C8 기질 피오글리타존 45mg 1일 1회, 12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12일투여 1.102 (1.078, 1.128) 1.097 (1.026, 1.173) CYP2C9 억제제 플루코나졸200mg 1일 1회, 7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단회투여 0.991 (0.965, 1.019) 0.804 (0.701, 0.923) CYP3A4 억제제 케토코나졸 400mg 1일 1회, 7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단회투여 1.154 (1.110, 1.200) 1.220 (1.096, 1.359) CYP3A4 억제제 아토르바스타틴 80mg 1일 1회, 7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7일투여 1.001 (0.964, 1.039) 1.087 (0.963, 1.227) P-gp 억제제 사이클로스포린 600mg 단회투여 알로글립틴 25mg 단회투여 1.132 (1.041, 1.231) 1.054 (0.951, 1.167) P-gp 기질 디곡신 0.2mg 1일 1회, 10일투여 알로글립틴 25mg 1일 1회, 10일투여 1.028 (0.995, 1.062) 1.108 (1.016, 1.208)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를 대상으로 이 약 또는 이 약의 성분에 대한 적절한 대조 연구가 없으므로, 이 약의 임부에 대한 안전성은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동물시험에서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염산염은 각각 모두 유즙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로글립틴이 사람 모유로 분비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메트포르민염산염은 사람 모유에 적은양이지만 분비가 되는 것이 알려졌기 때문에 이 약을 수유부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서의 이 약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9.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에 있어 노화는 신기능 저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신기능에 근거하여 적절한 혈당 조절 효과를 얻는 최소용량을 설정해야 한다. 고령자는 정기적으로 신기능을 모니터링 해야 하고, 일반적으로 고령자에게는 최대용량을 투여하지 않는다. 알로글립틴 및 메트포르민(속방형)의 임상시험에 참여한 총 환자(N=2095) 중 65세 이상은 343명(16.4%)이었고, 75세 이상은 37명(1.8%)이었다. 고령자와 젊은 환자군 사이에 반응성의 차이는 없었으나 일부 고령자에서 감수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배제할 수는 없다. 10. 과량투여 시 처치 알로글립틴 임상시험에서 투여된 최고 용량은 건강한 성인에의 단회투여 800mg, 제2형 당뇨병 환자에의 14일간 1일 1회 투여 400mg이었다. 이러한 한계 용량(권장 임상용량의 각 32배, 16배)에서 보고된 이상반응은 없었다. 과량투여가 발생하였을 경우 의료기관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임상적으로 필요한 모니터링과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임상적 판단에 따라 위장관내의 흡수되지 않은 약물의 제거를 고려할 수 있다. 알로글립틴은 거의 투석되지 않아 3시간의 혈액투석으로 약 7%가량 제거된다. 따라서 과량투여시 혈액투석은 권장되지 않으며, 복막투석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메트포르민염산염 50그램 이상의 양을 투여한 경우를 포함하여 메트포르민의 과량 투여가 있었으며, 증례의 약 10%에서 저혈당이 보고되었으나, 메트포르민과의 인과적관계는 확립되지 않았다. 메트포르민 과량 투여의 약 32%에서 유산 산증이 보고되었다. 메트포르민은 양호한 혈역학적 조건에서 170mL/분에 이르는 청소율로 투석된다. 따라서 이 약의 과량투여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축적된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혈액 투석은 유용할 수 있다.
6. 상호작용
1) 약리작용 이 약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개선 목적으로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염산염을 복합한 서방성 복합제이다. 알로글립틴 : 인크레틴호르몬 (글루카곤유사펩티드-1 [GLP-1]과 포도당 의존성 인슐린분비자극펩티드[GIP])을 분해하는 디펩티딜펩티다제-4 (DPP-4)에 대한 억제제 메트포르민: 비구아나이드계 약물로 췌장 베타세포에서의 인슐린 분비 변화 없이 혈당 강화 효과를 나타냄. 메트포르민은 간에서의 당 신생을 억제하고, 말초 조직에서의 당 이용을 증가시키고, 장에서의 당 흡수를 억제하는 기전으로 작용함 2) 약동학적 정보 이 약 12.5/500밀리그램 및 25/1000 밀리그램은 동일 용량의 알로글립틴 및 메트포르민(서방성) 단일제 병용투여와 생물학적으로 동등성을 보였다. 3) 임상시험 정보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의 초기병용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 초기병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26주,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연구가 수행되었다.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의 초기병용(12.5/500 mg, 12.5/1000 mg, 1일 2회)은 각각의 단독요법 대비 HbA1c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HbA1c 7% 미만에 도달한 대상자 비율은 각각의 단일제 단독요법 대비 유의하게 높았다(표6). 또한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의 초기병용은 알로글립틴 단독요법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요법 대비 FPG에 대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6. 알로글립틴과 메트포르민 초기병용의 혈당강하 효과를 알로글립틴 단독요법 또는 메트포르민 단독요법과 비교한 26주 임상시험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위약 알로글립틴 12.5mg (1일 2회) 메트포르민 500mg (1일 2회) 메트포르민 1000mg (1일 2회) 알로글립틴 12.5mg + 메트포르민 500mg (1일 2회) 알로글립틴 12.5mg + 메트포르민 1000mg (1일 2회) HbA1C (%) N=102 N=104 N=103 N=108 N=102 N=111 베이스라인(평균) 8.5 8.4 8.5 8.4 8.5 8.4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량 (LS평균†) 0.1 -0.6 -0.7 -1.1 -1.2 -1.6 메트포르민 단독투여 대비 차이 (LS평균†, 95%CI) - - - - -0.6‡ (-0.9, -0.3) -0.4‡ (-0.7, -0.2) 알로글립틴 단독투여 대비 차이 (LS평균†, 95%CI) - - - - -0.7‡ (-1.0, -0.4) -1.0‡ (-1.3, -0.7) HbA1c 7% 미만에 도달한 대상자 비율, %(n/N)§ 4% (4/102) 20% (21/104) 27% (28/103) 34% (37/108) 47%‡ (48/102) 59%‡ (66/111) *이중눈가림 중단 또는 혈당 구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의 설포닐우레아 구제 치료 전 Last observation (full analysis set, FAS 분석군) †치료, 지리적 영역, 베이스라인 수치에 대해 보정된 Least square 평균 ‡메트포르민 단독투여 및 알로글립틴 단독투여 대비 p-value<0.05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한 비교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의 추가 병용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알로글립틴 추가병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26주,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연구가 수행되었다. 26주간 알로글립틴 25 mg의 추가 병용투여는 위약 대비 HbA1c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표7), FPG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7. 메트포르민 단독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 추가병용의 혈당강하 효과를 위약과 비교한 26주 임상 시험 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메트포르민 위약 알로글립틴 25mg HbA1C (%) N=103 N=203 베이스라인(평균) 8.0 7.9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량 (LS평균†) -0.1 -0.6 위약 대비 차이 (LS평균†, 95%CI) - -0.5‡(-0.7, -0.3) HbA1c 7% 이하에 도달한 대상자 비율, %(n/N) 18% (19/104) 44%‡(92/207) *LOCF; 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full analysis set, FAS 분석군) †치료, 베이스라인 수치, 지리적 영역 및 베이스라인 메트포르민 용량에 따라 보정된 Least square 평균 ‡위약 대비 p-value<0.001 티아졸리딘디온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의 추가병용 피오글리타존과 메트포르민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알로글립틴의 추가병용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를 위한 이중눈가림, 52주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피오글리타존 30 mg 과 알로글립틴 25 mg 병용투여군에서 피오글리타존 45 mg 상향 적정군 대비 HbA1c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표8), FPG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표8. 피오글리타존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의 추가병용의 혈당강하 효과를 피오글리타존 상향 적정군과 비교한 52주 임상시험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메트포르민 피오글리타존 45mg 알로글립틴 25mg +피오글리타존 30mg HbA1C (%) N=394 N=397 베이스라인(평균) 8.1 8.2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량 (LS평균†) -0.3 -0.7 피오글리타존 45mg+메트포르민 투여군 대비 차이 (LS평균†, 95%CI) - -0.4‡(-0.5, -0.3) HbA1c 7% 이하에 도달한 대상자 비율, %(n/N) 21% (85/399) 33%§(134/404) *LOCF; 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full analysis set, FAS 분석군) †치료, 베이스라인, 지리적 영역 및 베이스라인 메트포르민 용량에 따라 보정된 Least square 평균 ‡메트포르민+피오글리타존 투여군과 0.025 단측검정에서 비열등하며, 통계적으로 우월 §메트포르민+피오글리타존 45mg 투여군과 비교 p-value<0.001 인슐린과 메트포르민 병용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의 추가병용 인슐린 단독 또는 인슐린과 메트포르민 병용으로 혈당조절이 잘 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알로글립틴 추가병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를 위한 26주,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연구가 수행되었다. 26주간 알로글립틴 25 mg의 추가 병용투여는 위약대비 HbA1c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표9), FPG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혈당강하제 배경요법에 대한 하위군 분석결과 메트포르민의 병용여부에 상관없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혈당강하 효과가 나타났다. 표9. 인슐린(+/-메트포르민) 요법에 대한 알로글립틴 추가병용의 혈당강하 효과를 위약과 비교한 26주 임상 시험 결과* 유효성 평가변수 인슐린(+/-메트포르민) 위약 알로글립틴 25mg HbA1C (%) N=126 N=126 베이스라인(평균) 9.3 9.3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량 (LS평균†) -0.1 -0.7 위약 대비 차이 (LS평균†, 95%CI) - -0.6‡(-0.8, -0.4) HbA1c 7% 이하에 도달한 대상자 비율, %(명) 1% (1/129) 8% (10/129) *LOCF; Last observation carried forward (full analysis set, FAS 분석군) †치료, 베이스라인 수치, 지리적 영역, 베이스라인 치료요법(인슐린 또는 인슐린+메트포르민) 및 베이스라인 일일 인슐린 용량에 따라 보정된 Least square 평균 ‡위약 대비 p-value<0.05 4) 독성시험 정보 메트포르민염산염 메트포르민염산염은 1차적 또는 2차적으로 재생성되는 약물이나 탐닉을 야기시키는 약물동태학적 성질을 나타내지 않는다. 장기간 발암성시험이 랫트(용량 104주 지속)와 마우스(91주 지속)에 대해 각각 900 mg/kg/day와 1500 mg/kg/day의 용량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용량은 체표면적에 기초한 인체의 1일 최대 허용량의 약 3배이다. 암ㆍ수 마우스 모두에서 메트포르민염산염과 관련된 발암성의 증거는 없었다. 유사하게 수컷 랫트에서 메트포르민염산염에 의한 종양 유발가능성은 없었다. 그러나 900 mg/kg/day로 투여한 암컷 랫트에서 양성 간질성 자궁 용종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복귀돌연변이시험(S. typhimurim), 유전자 돌연변이시험(마우스 림프종 세포), 염색체 이상시험(인 림프구) 또는 생체 내 소핵 시험(마우스 골수세포)에서 메트포르민염산염의 변이원성 가능성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암ㆍ수 랫트의 수태능은 600 mg/kg/day의 고용량, 또는 체표면적을 기준으로 최대 허용량의 약 2배를 투여했을 때 메트포르민염산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
동국생명과학(주)
(주)퍼슨
(주)퍼슨
· logliptin
임부에 대한 안전성 미확립
·이약은 1일 최대 알로글립틴 25mg/메트포르민염산염 2,000mg 이내로 복용해야 하는 용량주의 의약품입니다.
25 /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