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나트륨, 분량 : 20.25, 단위 : 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 비고 :
염화칼슘수화물, 분량 : 0.9, 단위 : 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칼슘으로서 0.245그램, 비고 :
염화칼륨, 분량 : 0.65, 단위 : 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칼륨으로서 0.341그램, 비고 :
염화마그네슘, 분량 : 0.53, 단위 : 그램, 규격 : EP, 성분정보 : 마그네슘으로서 0.0632그램, 비고 :
아세트산나트륨수화물, 분량 : 2.86, 단위 : 그램, 규격 : KP, 성분정보 : , 비고 :
탄산수소나트륨, 분량 : 7.0, 단위 : 그램, 규격 : EP, 성분정보 : , 비고 :
2. 용량은 투석시간에 따라 다르나 관류액으로서 150~300L를 사용한다. Na+ K+ Ca2+ Mg2+ Cl- Ac- HCO3- 135 2.5 3.5 1.5 106.5 8 30
1) 중증 간장애 또는 중증 당뇨병 등으로 인한 초산대사 장애환자[초산이 대사되지 않고, 초산 자체의 작용(심기능 억제, 말초혈관확장)에 의한 저혈압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디기탈리스 배당체 제제를 투여중인 환자(혈청칼륨치 저하에 의한 디기탈리스 중독증이 나타날 수 있다.) 3) 투석전에 혈청칼슘이 정상치 이상이며 또한 혈청인이 현저히 높은 수치를 보이는 환자(이소성 석회침착증을 일으킬 수 있다.) 4) 칼로리 보급이 불충분한 환자, 당뇨병으로 식사제한을 받거나 혈당저하제를 사용중인 환자(저혈당증을 일으킬 수 있다.) 2. 이상반응 1) 저혈당 투석중이나 투석후에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포도당 주사를 투여하거나 당분 보급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고칼슘혈증 혈중 칼슘농도의 상승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고칼슘혈증시는 칼슘농도가 낮은 투석액으로 변경한다. 3) 칼슘대사 이상 4) 투석 불균형증후군 두통, 구역, 구토, 경련, 의식혼탁, 불쾌감, 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석효율을 낮추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5) 순환기계 순환혈액량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저혈압, 쇽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석을 중지하거나 투석효율을 낮추고 수액제, 혈압상승제의 투여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또한 치료중 드물게 혈압상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혈압강하제를 투여하거나 초산형 투석액으로 변경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일반적 주의 1) 만성신부전에 대한 일반적인 혈액투석에 사용하지만 탄산수소나트륨을 함유한 투석액으로서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 2) 이 액은 포도당을 함유하지 않는 투석액으로 당대사 이상에 따른 고혈당 환자에게 포도당을 함유한 투석액의 사용으로는 양호한 혈당조절이 곤란한 경우에 사용한다. 3) 정기적으로 혈액검사(전해질, 산·염기평형, BUN, 크레아티닌, 요산, 혈당 등)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임부에 대한 투여 임신 중의 사용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사용한다. 5.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6. 고령자에 대한 투여 사용에 있어서는 다른 환자와 같이 이 제제의 특성을 충분히 유의하고, 장기 사용하는 경우에는 골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임상검사(생화학검사, X선검사 등)를 실시하거나, 활성형 비타민 D3 제제를 투여하는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7. 적용상의 주의 1) 투석용 희석용수는 연수화장치(순수장치), 역삼투장치 및 각종 필터를 이용한 정제수(Endotoxin 2.0 EU/mL 이하)와 같은 수준의 처리를 한 용수를 사용한다. 2) 투석막 파손의 유무, 항응고제의 추가 투여로 인한 수술후 출혈경향에 주의해야 한다. 3) 조제시 4) 사용시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