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스틸라주[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의약품 상세정보

효능효과, 주의사항, 유효기간 등 앱스틸라주[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상세 내용





HOME > 의약품 > 앱스틸라주[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상세정보

기본정보

제품명
앱스틸라주[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Afstyla injection
이미지
Afstyla injection 의약품 이미지
전문/일반
전문
성분/함량
· recombinant blood coagulation factor VIII-Single Chain, lonoctocog α 250 I.U

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분량 : 250, 단위 : 아이.유,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Chinese Hamster Ovary) DG44, 발현벡터 : DC2-pSV/dhfr/pCMV/NG8

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분량 : 500, 단위 : 아이.유,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Chinese Hamster Ovary) DG44, 발현벡터 : DC2-pSV/dhfr/pCMV/NG8

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분량 : 1000, 단위 : 아이.유,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Chinese Hamster Ovary) DG44, 발현벡터 : DC2-pSV/dhfr/pCMV/NG8

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분량 : 2000, 단위 : 아이.유,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Chinese Hamster Ovary) DG44, 발현벡터 : DC2-pSV/dhfr/pCMV/NG8

로녹토코그알파(혈액응고인자VIII, 유전자재조합), 분량 : 3000, 단위 : 아이.유, 규격 : 별규, 성분정보 : , 비고 : 숙주 : CHO(Chinese Hamster Ovary) DG44, 발현벡터 : DC2-pSV/dhfr/pCMV/NG8

동일성분 의약품 보기

첨가제
백당, 백당, 백당, 백당, 염산, 염산, 염산, 염산, 염산,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칼슘, 염화칼슘, 염화칼슘, 염화칼슘, 주사용수, 주사용수,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80, L-히스티딘, L-히스티딘, L-히스티딘, L-히스티딘, L-히스티딘,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
업체명
품목기준코드
202000311
표준코드
8800572000208, 8800597000115, 8800597000108, 8800597000122, 8800597000139, 8800597000146, 8800597000153
위탁제조업체
제형 / 투여경로
주사제 / 주사
성상
흰색 또는 연노란색의 동결건조 분말이 무색투명한 바이알에 든 주사제로, 첨부용제로 용해 시 무색투명의 용액
허가일자
2020년 01월 20일
급여정보
청구코드: 59700011
625원 / 250(1)I.U/병
ATC코드
B02BD02 coagulation factor VIII 응고 인자 VIII

ATC 코드분류 보기

식약처분류명(효능군)
339 [03390]기타의 혈액 및 체액용약
주성분코드
694301BIJ
포장단위
1바이알/상자[바이알(250IU)],1바이알/상자[바이알(500IU)],1바이알/상자[바이알(1000IU)],1바이알/상자[바이알(2000IU)],1바이알/상자[바이알(3000IU)]
저장방법
밀봉용기, 동결을 피하여 냉장(2~8℃)보관
유효기간
제조일로부터 36개월


TOP
전체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일반)
주의사항(전문가)
상호작용
e약은요
연령금기
병용금기
효능군중복주의
임부금기
노인주의
용량주의
투여기간주의


♦ 효능.효과


이 약은 재구성한 후 정맥주사용으로만 사용한다.

이 약은 혈우병에 대한 치료경험이 있는 의사의 감독 하에 투여하여야 한다.

A형 혈우병 환자의 출혈 치료 및 출혈 예방을 위한 가정 치료의 결정은적절한 훈련을 제공하고 약의 사용을 주기적으로 평가가능한 의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용량

이 약의 투여 용량 및 기간은 혈액응고 제 8인자의 결핍정도, 출혈 부위 및 출혈정도, 환자의 임상적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제 8인자의 투여 단위 수는 혈액응고 제 8인자 제품에 대한 현 WHO 표준품으로 보정한 국제단위(IU)로 표시한다. 혈장의 제 8인자 활성은 정상인의 혈장의 상대적 백분율 또는 혈장의 제 8인자의 국제 표준품에 대한 상대적 국제단위(IU)로 표현된다.

이 약 각 바이알의 라벨에는 제 8인자의 역가가 국제단위 (IU)로 표시된다. 1 IU는 정상사람 혈장 1 mL에 함유된 제 8인자의 활성과 같다.

역가는 발색기질분석법 (chromogenic substrate assay)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혈장의 제 8인자 농도는 발색기질분석법 또는 1단계 응고시간분석법(one-stage clotting assay)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3) 실험실적 검사’ 항 참고).

[필요 시 투여]

필요한 제 8인자 용량의 계산은 체중 1 kg 당 1 IU의 제 8인자가 혈장의 제 8인자 활성을 2 IU/dL 만큼 증가시킨다는 경험적 수치를 바탕으로 한다. IU/dL(또는 정상 %)로 표현되는 제 8인자 활성에 대해 예상되는 생체 내 피크의 증가는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제 8인자의 생체 내 피크의 증가를 얻기 위해 필요한 용량은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투여용량과 투여빈도는 개별 환자의 임상적 반응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출혈의 억제 및 예방을 위한 이 약의 투여 지침은 아래 표1과 같다. 제 8인자 활성은 목표 범위 또는 그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표1. 출혈의 억제 및 예방을 위한 투여량

출혈의 정도 /

수술 유형

필요한 혈중 제 8인자 농도 (% 또는 IU/dL)

투여 빈도 (시간) /

치료 기간 (일)

출혈

조기 혈관절증, 근육 출혈 또는 구강 출혈

20 ~ 40

출혈이 해소될 때까지 매 12 ~ 24 시간마다 반복투여 한다.

보다 광범위한 출혈, 근육 출혈 또는 혈종

30 ~ 60

출혈이 해소될 때까지 매 12 ~ 24 시간마다 반복투여 한다.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60 ~ 100

출혈이 해소될 때까지 매 8 ~ 24 시간마다 반복투여 한다.

수술

발치를 포함하는 경미한 수술

30 ~ 60

치료될 때까지 적어도 하루 동안, 매 24 시간마다 반복투여 한다.

대수술

80 ~ 100

(수술 전 및 수술 후)

상처가 회복될 때까지 매 8 ~ 24 시간 마다 반복투여 하고, 그 후로는 적어도 추가 7일 동안 제 8인자 활성을 30~60 % (IU/dL)로 유지할 수 있도록 치료를 지속한다.

[일상적 예방요법]

12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의 경우, 초기 권장 용량은 20~50IU/kg이며 주 2~3회 투여한다.

12세 미만의 소아의 경우, 초기 권장 용량은 30~50IU/kg이며 주 2~3회 투여하고, 높은 청소율을 보이므로 체중에 따라 투여 횟수를 증가시키거나 증량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투여요법은 환자의 임상반응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 용법.용량


A형 혈우병 (혈액응고 제 8인자의 선천성 결핍) 성인 및 소아 환자에서의

- 출혈 억제 및 예방

- 출혈 예방 또는 빈도 감소를 위한 일상적인 예방요법

- 수술 전후 예방 (외과적 예방)

이 약은 본 빌레브란트 환자의 치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주의사항(일반)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 또는 햄스터 단백질에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생명을 위협하는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과민반응: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은 이 약에서 나타날 수 있다. 환자들에게 두드러기, 전신성 두드러기, 가슴 압박, 천명, 저혈압 및 가려움을 포함하는 아나필락시스로 진행할 수 있는 과민반응을 알려야 한다. 과민반응이 발생하면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한다. 과거 과민반응을 보인 환자에 대해 항히스타민제의 전처치를 고려할 수 있다.

2) 중화항체(억제인자): 제 8인자 제품 투여 후 제 8인자 억제인자의 형성이 보고되었다.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PUPs)는 이 약을 포함하여 모든 제 8인자 제품에 대한 억제인자 형성 위험이 크다. 환자는 적절한 임상적 관찰 및 실험실적 검사를 통해 제 8인자 억제인자의 형성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만약 혈장의 제 8인자 농도가 예상 수준으로 증가하지 않거나, 이 약의 투여 후 출혈이 멈추지 않으면 억제인자의 존재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만약 혈장의 제 8인자 농도가 예상대로 증가하지 않거나, 출혈이 이 약의 권장된 양으로 조절되지 않으면 제 8인자 억제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베데스다 억제인자 분석(Bethesda inhibitor assay)을 수행하여 베데스다 단위(BU)로 억제인자 농도를 보고한다.

3) 실험실 검사 모니터링 :이 약을 투여 받는 환자에서 혈장의 제 8인자 활성은 2가지 분석법에서 제 8인자 활성측정이 일관되며, 예측 가능한 차이를 보이므로, 발색기질분석법 (chromogenic substrate assay) 또는 1단계응고시간분석법 (one-stage clotting assay)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대규모 주요 임상시험의 유효성 결과를 통해 발색기질분석법 결과가 임상적 출혈 가능성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 8인자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발색기질분석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1단계응고시간분석법을 사용하여 제 8인자 활성을 측정하는 경우, 그 결과는 발색기질분석법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약 45 % 낮음을 고려하여 해석하여야 한다(즉, 1단계응고시간분석법 결과는 1단계 결과에 2를 곱하여 얻어진 발색기질분석법 결과와 일치 할 수 있다).

환자와 의약품 뱃치의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약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마다 제품명과 뱃치 번호를 기록하는 것을 권장한다.

4) 카테터 관련 합병증: 중심정맥장치(Central Venous Access Device, CVAD)가 필요한 경우, 국소감염, 균혈증, 카테터 부위 혈전증을 포함하는 CVAD 관련 합병증의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신중투여는 어른과 소아에 모두 적용된다.

3. 약물이상반응

[안전성 프로파일 요약]

임상시험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한 약물이상반응(대상자의 0.5% 이상)은 어지러움과 과민반응이었다. 제 8인자 제품 사용 후 과민반응 또는 알레르기 반응 (혈관부종, 주사 부위 작열감 및 자통, 오한, 홍조, 전신성 두드러기, 두통, 두드러기, 저혈압, 기면, 구역, 불안, 빈맥, 가슴 압박, 저림, 구토, 천명 등)이 드물게 나타났으며, 어떤 경우에는 중증의 아나필락시스(쇼크 포함)로 진행될 수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참고). 임상시험에서 과민반응이 관찰되었고 (표1 참고), 아나필락시스성 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A형 혈우병 환자는 이 약을 포함한 제 8인자 억제인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런 억제인자가 형성되면, 불충분한 임상 반응이 나타난다. 이러한 반응은 이 약으로 이전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들(PTPs)을 대상으로 한 완료된 임상시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약물이상반응표]

이 약의 이상반응은 MedDRA 기관계 분류 (SOC 및 우선순위 용어)에 따라 아래 표1에 제시하였다.

완료된 임상시험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환자 당 빈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매우 흔하게(≥ 1/10); 흔하게(≥ 1/100 ∼ < 1/10), 흔하지 않게(≥ 1/1,000 ∼ < 1/100); 드물게(≥ 1/10,000 ∼ <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알려지지 않음(평가 불가능)

표 1. 약물이상반응

MedDRA

기관계 분류

약물이상반응

대상자 수 (%)

(N=258)

빈도

면역계

과민증

4 (1.6)

흔하게

신경계

어지러움

2 (0.8)

흔하지 않게

감각이상

1 (0.4)

흔하지 않게

피부 및 피하조직계

발진

1 (0.4)

흔하지 않게

홍반

1 (0.4)

흔하지 않게

가려움

1 (0.4)

흔하지 않게

전신이상 및 투여부위

발열

1 (0.4)

흔하지 않게

주사부위 통증

1 (0.4)

흔하지 않게

오한

1 (0.4)

흔하지 않게

더운느낌

1 (0.4)

흔하지 않게

진행 중인 임상시험과 시판 후 조사에서,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PUPs)의 제 8인자 억제인자의 생성이 매우 흔하게 관찰되었다. 진행 중인 임상시험에서, 저해제의 대부분은 이 약으로 지속된 치료에 의해 해결되었다.

제 8인자 억제인자는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PTPs)에서 흔하지 않으며, 시판 후 조사에서 보고된 바 있다.

의심되는 약물이상반응의 보고

이 약의 시판 허가 후, 의심되는 약물이상반응의 보고는 중요하다. 이는 의약품의 유익성/위험성 균형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한다. 의료인들은 의심되는 약물이상반응을 보고하여야 한다.

4. 일반적 주의

1)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 알레르기성 과민반응은 이 약에서 나타날 수 있다. 과민반응이 발생하면 즉시 투여를 중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한다. 과민반응의 증상은 두드러기, 전신성 두드러기, 가슴 압박, 천명, 저혈압 및 가려움을 포함하는 아나필락시스를 포함한다.

2) 혈장의 제 8인자 농도가 예상 수준으로 증가하지 않거나, 이 약의 투여 후 출혈이 멈추지 않으면 억제인자의 존재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2) 중화항체(억제인자)’ 참고)

3) 환자와 의약품 뱃치의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 약을 환자에게 투여할 때마다 제품명과 뱃치 번호를 기록하는 것을 권장한다.

4) 카테터 관련 합병증: 중심정맥장치(Central Venous Access Device, CVAD)가 필요한 경우, 국소감염, 균혈증, 카테터 부위 혈전증을 포함하는 CVAD 관련 합병증의 위험을 고려해야 한다.


5. 상호작용

약과 다른 의약품과의 약물 상호작용은 알려진 바 없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약을 이용한 동물에 대한 생식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이 약을 임부에게 투여했을 때 태아에게 해를 끼치거나 생식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약은 명백히 필요한 경우에만 임부 및 수유부에 투여해야 한다.

이 약이 모유로의 이행은 알려지지 않았다. 많은 약물에서 모유로의 이행이 있으므로 이 약을 수유부에게 투여하는 경우 주의하여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 (0 ~ 12세)에서의 약동학적 연구에서는 성인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소실값, 짧은 반감기, 낮은 수준의 제 8인자 활성도를 나타냈다.

소아에서의 체중 kg 당 소실값이 더 높게 나타났으므로, 체중에 따라 더 빈번하고 높은 용량의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14. 전문가를 위한 정보’의 ‘1) 약동학적 정보’ 참고).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의 임상시험에는 65세 이상의 시험대상자가 포함되지 않았다.

9.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에 대해서 저해제의 생성 및 출혈률 등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한다.

이 약의 과량투여 시 보고된 증상은 없다. 한 명의 환자가 처방된 용량의 두 배 이상을 투여 받았지만 이와 관련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10. 과량투여 시의 처치

이 약의 과량투여 시 보고된 증상은 없다. 한 명의 환자가 처방된 용량(35-50 IU/kg)의 두 배 이상(111.3 IU/kg)을 투여 받았지만 이와 관련한 이상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11. 적용상의 주의

일반적 지침

약은 정맥주사용으로만 사용한다.

- 이 용액은 거의 무색, 투명 또는 약간 유백색이어야 한다. 여과/회수(아래 참조) 후 조제된 제품은 투여 전 미립자 및 변색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 육안으로 확인되는 혼탁한 용액 또는 박편 또는 입자가 있는 용액은 사용하지 않는다.

- 조제 및 회수는 무균 상태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주사액 조제

첨부용제를 실온에 둔다. 의약품 및 첨부용제 바이알 뚜껑을 제거하고 알콜솜으로 마개를 닦은 후,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 포장을 열기 전에 건조시킨다.

① 뚜껑을 제거하여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 포장을 연다. 이때,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는 포장에서 꺼내지 않는다.

② 첨부용제 바이알을 평평하고 깨끗한 작업대에 놓고 바이알을 단단히 잡는다. 포장에 들어 있는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의 파란색 어댑터 끝의 스파이크를 첨부용제 바이알 마개 위에 두고 곧게 누른다.

③ 결합된 후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의 포장재 가장자리를 잡고 수직으로 위로 잡아 당겨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 세트에서 블리스터 포장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한다. 이때,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가 아닌 블리스터 포장지만 제거해야 한다.

④ 의약품 바이알을 평평하고 단단한 작업대에 둔다.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가 부착된 첨부용제 바이알을 뒤집고 투명한 어댑터 끝의 스파이크를 제품 바이알 마개로 곧게 누른다. 제대로 결합이 되었다면, 첨부용제는 자동으로 제품 바이알로 흐른다.

⑤ 한쪽 손으로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의 의약품 바이알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첨부용제 바이알을 잡고 세트를 조심스럽게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2개의 바이알을 분리한다. 이때, 파란색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 어댑터가 부착된 용제 바이알을 폐기한다.

⑥ 의약품이 완전히 용해될 까지 투명 어댑터가 부착된 제품 바이알을 부드럽게 돌린다.

⑦ 빈 멸균 주사기에 공기를 넣는다. 제품 바이알을 똑바로 세운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돌려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의 루어락 (Luer Lock)에 연결한다. 제품 바이알에 공기를 주입한다.

회수 및 적용

⑧ 주사기 밀대를 계속 누르면서 거꾸로 뒤집은 다음 주사기 밀대를 천천히 당겨서 용액을 주사기로 옮긴다.

⑨ 용액이 주사기로 옮긴 후 주사기의 외통(barrel)을 단단히 잡고(주사기 밀대를 아래로 향하게 유지) 투명한 수동식의약품혼합용기구어댑터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분리한다.

 

- 이 약을 투여할 경우, 일부 주입 장치의 내부 표면에 제 8인자가 흡착되어 치료가 실패할 수 있으므로 첨부된 주입 세트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 혈액이 시린지에서 응고되고, 피브린 응괴 (fibrin clots)가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제품으로 채워진 시린지에 혈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이 약의 용액은 희석하면 안 된다.

- 조제된 용액은 환자에게 편안한 속도로 천천히 정맥 주사로 별도의 주사/주입 라인을 통해 투여하여야 한다. 환자는 이 약 투여 후 초기반응을 관찰하여야 한다. 이 약 투여와 관련 가능성이 있는 반응이 관찰된 경우,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주입 속도를 줄이거나 투여를 중단하여야 한다.

- 사용하지 않은 의약품 또는 폐기물은 적절히 폐기한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2∼8 ℃에서 보관하며, 8 ℃를 초과하여 보관하지 않는다.

2) 얼리지 않는다. 차광을 위하여 제품상자에 넣어 보관한다.

3) 이 약은 제품 상자 및 바이알 라벨에 기재된 유효기간 내에서 1회 최대 3개월 동안 25 ℃를 초과하지 않는 실온에 보관 가능하다.

4) 생물학적 측면에서, 조제된 주사액은 즉시 사용되어야 한다. 즉시 사용할 수 없을 경우, 조제된 주사액은 25 ℃ 이하 실온에서 4시간 이내로 보관 가능하다.

13. 기타

1) 운전 및 기계 조작 능력에 대한 영향은 없다.

♦주의사항(전문가)



14.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동학적 정보

청소년 및 성인 환자(12세 이상)

이 약의 약동학은 50 IU/kg를 정맥주사로 단회 투여한 10명의 청소년(12 ~ 18세 미만) 및 81명의 성인 환자에서 평가되었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발색기질분석법 (chromogenic substrate assay)에 의해 측정된 혈장의 제 8인자 활성을 근거로 하였다. 초기 약동학적 평가 후 3 ~ 6개월에 측정된 약동학적 프로파일은 최초 투여 후 측정된 약동학적 프로파일과 일치하였다.

표 2. 이 약 50 IU/kg, 단회 투여 후 약동학적 파라미터(산술평균, CV%) - 발색기질분석법:

약동학적 파라미터

12 ~ 18세 미만

(N=10)

18세 ~65세

(N=81)

IR(IU/dL)/(IU/kg)

1.69 (24.8)

2.00 (20.8)

Cmax(IU/dL)

89.7 (24.8)

106 (18.1)

AUC0-inf(IU*h/dL)

1540 (36.5)

1960 (33.1)

t1/2(h)

14.3 (33.3)

14.2 (26.0)

MRT (h)

20.0 (32.2)

20.4 (25.8)

CL (mL/h/kg)

3.80 (46.9)

2.90 (34.4)

Vss(mL/kg)

68.5 (29.9)

55.2 (20.8)

IR = 투여 후 30분에 회복 증가 기록; Cmax = 최고 혈중 농도; AUC0-inf = 무한대까지 외삽된 제 8인자 활성 시간곡선하면적; t1/2 = 반감기; MRT = 평균 체류시간; CL = 체중 조정된 소실값; Vss = 체중이 보정된 정상상태의 분포용적

소아 환자(12세 미만)

이 약의 약동학은 50 IU/kg을 정맥 주사로 단회 투여 39명의 소아에서 평가되었다.

약동학적 파라미터는 발색기질분석법 (chromogenic substrate assay)에 의해 측정된 혈장 내 제 8인자 활성을 근거로 하였다.

표 3.이 약 50 IU/kg의 단회 투여 후 연령별 약동학적 파라미터(산술평균, CV%)의 비교 - 발색기질분석법:

약동학적 파라미터

0 ~ 6세 미만

(N=20)

6 ~ 12세 미만

(N=19)

IR(IU/dL)/(IU/kg)

1.60 (21.1)

1.66 (19.7)

Cmax(IU/dL)

80.2 (20.6)

83.5 (19.5)

AUC0-inf(IU*h/dL)

1080 (31.0)

1170 (26.3)

t1/2(h)

10.4 (28.7)

10.2 (19.4)

MRT (h)

12.4 (25.0)

12.3 (16.8)

CL (mL/h/kg)

5.07 (29.6)

4.63 (29.5)

Vss(mL/kg)

71.0 (11.8)

67.1 (22.3)

IR = 12~18세 미만 대상자에게 투여 후 30분 및 1~12세 미만 대상자에게 투여 후 60분에 회복 증가 기록; Cmax = 최고 혈중 농도; AUC0-inf = 무한대까지 외삽된 제 8인자 활성 시간곡선하면적; t1/2 = 반감기; MRT = 평균 체류시간; CL = 체중 조정된 소실값 ; Vss = 체중이 보정된 정상상태의 분포용적

2) 약리작용 정보

작용 기전

이 약은 효과적인 지혈에 필요한 누락된 혈액응고 제8인자를 대체하는 재조합 단백질이다. 이 약은 야생형, 전장 (full-length) 제8인자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B-도메인이 제거된 단일 사슬 재조합 제 8인자 구조이다. 활성 후 형성된 이 약 분자는 내인성, 전장 제 8인자로부터 형성된 제 8a인자와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다. 또한, 단일 사슬 디자인은 본 빌레브란트 인자 (von Willebrand Factor)에 대한 이 약의 결합 친화력을 높인다.

약력학 효과

A형 혈우병은 제 8인자 농도의 감소로 인한 혈액 응고의 X-연관 유전질환이며, 자발적, 우발적 또는 외과적 외상으로 인하여 관절, 근육 또는 내부 장기에 다량의 출혈을 유발한다. 대체요법으로 제 8인자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자 결핍의 일시적 교정 및 출혈 경향을 교정할 수 있다.

3) 임상시험 정보

12 ~65세의 청소년 및 성인 환자

Study 1001 임상시험은 일상적 예방요법에서의 출혈의 예방, 출혈 억제 및 수술 전후 관리 중 지혈 효과에 대한 안전성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이 임상시험에는 치료 경험이 있는 중증의 A형 혈우병 (60세 초과의 시험대상자 1명이 등록됨) 환자가 등록되었고, 이들의 rVIII-SC에 총 누적 노출일은 14,306일 이었다. 억제인자를 형성하거나 아나필락스 반응이 나타난 환자는 없었다.

예방

146명의 시험대상자가 예방요법에 배정되었고 (ABR 중간값 1.14 (사분범위: 0.0, 4.2)), 79명 (54 %)은 주 3회 요법, 47 명 (32 %)은 주 2회 요법으로 투여하였다. 주 2회 및 주 3회 예방요법의 환자에서 용량 중간값은 각각 35 IU/kg 및 30 IU/kg 이었고, 연간 용량 중간값은 4,283 IU/kg 이었다.

출혈 치료

Study 1001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848 건의 출혈 중 793건(93.5 %)이 2회 이하의 투여로 조절되었다. 출혈 치료의 용량 중간값은 34.7 IU/kg 이었다.

수술 전후 관리 (외과적 예방)

Study 1001 임상시험에서 총 16건의 주요 외과적 수술이 시행되었고, 13명의 대상자를 평가하였다. 외과적 예방에서 rVIII-SC의 지혈 효과는 모든 수술에서 우수(excellent) 또는 좋음(good)으로 평가되었다. 18세 미만의 소아 환자들은 수술 대상자군에 포함하지 않았다.

표 4. 1001 임상시험에서 치료요법에 따른 연간 출혈률

 

12세~ 65세 (N=173)

 

필요시 투여 (N=27)

예방 요법 (N=146)

출혈의 종류

중앙값 (사분 범위)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사분범위)

평균

(표준편차)

전체

19.64

(6.2-46.5)

31.14

(35.56)

1.14

(0.0-4.2)

3.11

(5.04)

자발성

11.73

(2.8-36.5)

24.84 (33.84)

0.00

(0.0-2.4)

2.10

(4.76)

외상성

3.12

(0.0-8.4)

5.46

(6.27)

0.0

(0.0-0.9)

0.72

(1.55)

12세 미만의 소아 환자

Study 3002 임상시험은 치료 경험이 있는 12세 미만의 환자 84명 (6세 미만 35명 및 6 ~ 12세 미만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대상자의 rVIII-SC에 총 누적 노출일은 5,239일 이었다. 억제인자를 형성하거나 아나필락스 반응이 나타난 환자는 없었다.

개별적 예방

예방요법의 80명의 환자 (ABR 중간값 3.69 (사분범위: 0.00, 7.20)) 중, 43명 (54 %)은 주 2회, 24 명 (30 %)은 주 3회 요법으로 투여하였다. 주 2회 및 주 3회 예방요법의 환자에서 용량 중간값은 각각 35 IU/kg 및 32 IU/kg 이었고, 연간 용량 중간값은 4,109 IU/kg 이었다.

출혈 치료

Study 3002 임상시험에서 관찰된 347 건의 출혈 중 332건(95.7 %)이 2회 이하의 투여로 조절되었다. 출혈 치료의 용량 중간값은 27.6 IU/kg이었다.

표 5. 3002 임상시험에서 치료요법에 따른 연간 출혈률

 

0∼12세 소아 (N=83)

 

필요시 투여 (N=3)

예방 요법 (N=80)

출혈의 종류

중앙값

(사분범위)

평균 (표준편차)

중앙값

(사분범위)

평균 (표준편차)

전체

78.56

(35.12-86.62)

66.77 (27.70)

3.69

(0.00-7.20)

5.22 (5.56)

자발성

31.76

(0.00-42.73)

24.83 (22.19)

0.00

(0.00-2.20)

1.70 (2.97)

외상성

35.12

(15.88-35.84)

28.95 (11.32)

1.97

(0.00-3.81)

2.28 (2.58)

4) 비임상 정보

비임상 정보는 안전성 약리학, 단회 및 반복투여 독성, 국소 내성 및 혈전 형성에 대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인체에 특별한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다.

(1) 단회투여 독성시험

랫트에게 정맥주사(IV) 50∼1,250 IU/kg을 단회투여한 결과 최고농도인 1500 IU/kg에서 이상반응 또는 독성반응, 주사 부위에 자극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발견되지 않았다. 원숭이에게 정맥주사(IV) 50∼1,500 IU/kg을 단회투여한 결과 1,500 IU/kg농도에 대해 내약성이 있으며 다른 영향들이 발견되지 않았다.

(2) 반복투여 독성시험

랫트에게 정맥주사(IV) 50∼1,250 IU/kg을 4주간 투여한 결과 16일째 50 IU/kg/day를 투여받은 수컷 30% 와 암컷 80%, 250 또는 1,250 IU/kg/day를 투여받은 암수 랫트에서 이 약의 항체가 발견되었다. 28일째 50 IU/kg/day를 투여받은 암수 90%, 250 또는 1,250 IU/kg/day를 투여받은 암수 랫트에서 이 약의 항체가 발견되었다. 투여 후 5주차에 1250 IU/kg/day를 투여받은 랫트에서 약간 길어진 aPTT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사망, 주사 부위 이상반응,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직병리학적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원숭이(cynomolgus monkeys)에게 정맥주사(IV) 50~500 IU/kg/day를 4주동안 투여한 결과, 28일 후 50 IU/kg 투여군에서는 전부, 150 IU/kg 투여군에서는 16%, 500 IU/kg 투여군에서는 50%가 정량한계 미만의 항체가 확인되었고, 나머지는 정량한계를 초과하는 항체가 관찰되었다. 항체의 생성으로 인해 150 및 500 IU/kg/day를 투여 받은 암컷에서는 2주차에, 그리고 150 및 500 IU/kg/day를 투여 받은 암컷과 수컷 모두에서 3주차 및 29일에 aPTT의 증가가 나타났다. 500 IU/kg 투여군의 대부분은 내약성이 좋았고, 150 IU/kg 투여군의 모든 암수컷, 500 IU/kg 투여군의 모든 암컷과 75%의 수컷에서 일시적인 몸떨림이 6일차에 관찰되었다.

(3) 안전성 약리학

개(beagle dogs) 또는 원숭이(cynomolgus monkeys)에 정맥주사(IV) 50 ~ 1250 IU/kg를 투여 하여 이 약의 전기생리학적, 혈액학적 그리고 호흡계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비글견에서 1250 IU/kg로 이 약의 3차 주입액을 정맥 내 투여한 후에 동맥압, 좌심실수축기혈압(LVSP), 좌심실확장기말혈압(LVEDP), 심장 박출량 및 일회 박출량이 위약 투여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 마취된 개(APQ0016연구)에서 이 약 50 IU/kg과 250 IU/kg 투여 후 ECG 간격과 심박출량이 약간 감소하였으며, 의식이 있는 개(APQ0018연구)에서 50과 250 IU/kg를 2회 주사 시 혈압과 좌심실압력이 감소하였다. 두 연구 모두 1,250 IU/kg농 3회 투여 후 동맥압, LVSP, LVEDP에 변화가 관찰되었고, APQ0016연구에서는 심박출량, APQ0018연구에서는 PR간격(PR interval)과 QT간격(QT interval), 심박수, 최대/최소 혈압변화율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 변화들은 이 약의 희석 완충액을 주입했을 때에도 비슷한 규모와 지속시간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주성분과는 원인관계가 없고, 개에게 정맥주사 시 히스타민 방출로 인해 과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폴리소르베이트 80이 첨가제로 포함되어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APQ0019 연구에서는 생리식염수를 투여받은 대조군과 비교 시 PR 간격, 심박수 및 혈압이 이 약을 투여 받은 시험군과 달랐으나 그 변화가 작고 투여량에 비의존적이며 산발적으로 분포한다. 따라서 이 약의 투여와는 관련이 없다. 또한, 이 약의 투여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임상 징후나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4) 국소 내성

토끼를 대상으로 한 국소 내성 실험에서, 제1군은 1 mL 정맥주사, 제2군은 1 mL 동맥주사, 제3군은 0.2 mL을 정맥근처에 주사하였다. 그 결과 국소 또는 전신 징후 없이 좋은 내약성을 나타냈다.

(5) 혈전 생성

토끼를 대상으로 한 혈전 생성 실험에서, 이 약의 1000 IU/kg 투여 후 낮은 혈전 형성 강화작용(Potentiation of Thrombus Formation(PTF))을 보였고 이보다 낮은 150, 300, 500 IU/kg 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e약은요


"e약은요"는 일반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이해하기 쉬운 의약품 정보 제공을 위해 마련된 의약품개요정보입니다. 의약품에 관한 모든 내용을 담고 있지 않으며 자세한 사항은 식약처 의약품안전나라의 "의약품상세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정보는 법적 효력을 가지는 것이 아닙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