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포도구균, 연쇄구균, 폐렴연쇄구균, 매독균 ○ 적응증 - 옹종, 종기, 종기증, 연조직염, 생인손, 농가진, 림프절염, 모낭염, 감염성 죽종 - 편도염, 인두염, 기관지염, 폐렴, 기관지확장증(감염 시), 폐농양 - 중이염 - 창상, 화상 및 수술 후 2차 감염, 골수염, 유선염 - 성홍열 - 담낭염 - 자궁부속기염 - 매독 - 다래끼, 급성누낭염
1) 이 약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수유부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장애 환자 2) 신장애 환자(체내저류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적절히 감량한다.) 4)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5) 다른 항생물질(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린코마이신, 클린다마이신, 클로람페니콜)와의 병용 시 교차내성에 주의한다. 3. 이상반응 1) 과민반응 : 때때로 발진, 발적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소화기계 : 위부압박감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설사, 위부불쾌감 드물게 묽은 변, 구내염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4. 일반적 주의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 상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 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모유로 이행되므로 수유 중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6. 소아에 대한 투여 저체중출생아, 신생아, 영아, 유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7. 고령자에 대한 투여 고령자는 간ㆍ신기능이 저하된 경우가 많으므로 체내저류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용량에 유의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8.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페닐히드라지 반응(포터-실버 반응)에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e약은요의 정보가 없습니다.